그리스 로마 신화,
기독교 『성경』과 더불어
서양 문명의 두 기둥을 형성하다
서양 문명은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이라는 두 개의 거대한 기둥 위에 세워졌다. 넓은 의미에서 헬레니즘은 고대 그리스 문명을 가리키고, 헤브라이즘은 고대 근동에서 시작된 기독교 문화를 가리킨다. 헬레니즘의 중심에는 ‘인간’이 있었다면, 헤브라이즘의 중심에는 ‘신(神)’이 있었다. 서양 문명은 ‘신’이 지배한 중세 천년을 거친 뒤 고전 시대의 ‘인간’을 재발견한 계몽의 시대를 지나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인간 중심적인 헬레니즘에 신화는 왠지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그리스 로마 신화야말로 가장 인간적인 사상을 담고 있다. 이 책의 저자 이디스 해밀턴은 서론에서 ‘그리스의 기적(the Greek miracle)’을 언급하면서 고대 그리스에는 이전 세계에서 꿈도 꾸지 못한 새로운 시각이 움트기 시작했다고 말한다. 이전까지 인간은 하찮은 존재였지만, 그리스의 등장과 함께 인류는 우주의 중심이자 가장 중요한 존재가 되었다.
그리스인들은 ‘자신의 모습’을 본떠 신을 만들었다. 고대 메소포타미아나 고대 이집트의 비인간적이고 비현실적인 신들과는 다르게, 가장 인간적이고도 현실적인 인간의 모습을 신들에게 투영했다. 신들을 묘사한 고대 그리스의 조각상들만 봐도 젊고 강한 사람의 육체로 묘사해놓았는데, 이보다 더 아름다운 존재는 상상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렇다고 그리스의 신들이 기독교의 신처럼 완전무결한 존재인 것은 아니다. 때로는 질투하고 분노하고 실수도 저지르는 지극히 ‘인간적인’ 존재로 묘사되기도 했다.
이처럼 ‘인간의 재발견’이 낳은 그리스 로마 신화는 서양 문명, 나아가 인류 문명의 원형이 되었다. 그리스 로마 신화는 문학, 역사학, 인류학, 심리학 등 서양 학문과 사상의 원천이 되었고, 회화, 조각, 건축, 음악 등 예술 분야에도 풍부한 영감과 창의성을 제공해왔다. 오늘날에도 소설, 드라마, 영화, 게임 등 대중문화에 마르지 않는 샘처럼 끊임없이 매력적인 모티브를 제공하는 ‘스토리텔링의 근원’이 되고 있다.
20세기 최고의 신화학자 이디스 해밀턴,
고대 원전 중 최고 작품을 엄선하다
『해밀턴의 그리스 로마 신화』의 저자 이디스 해밀턴은 우연찮게도 토머스 불핀치가 세상을 떠난 1867년에 태어났다. 그녀는 일곱 살 때부터 그리스어, 라틴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 다양한 언어를 익힐 정도로 언어 감각이 남달랐다. 여성이 공교육을 받기 어려웠던 19세기, 대학에서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전공해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26년 동안 역임한 교장직에서 은퇴한 뒤로도 40년 동안 고전을 연구하고 다양한 저작을 남기면서 탁월한 신화학자(神話學子)로 자리매김했다. 90세가 되던 해에는 연구 및 집필 활동의 공로를 인정받아 아테네 명예시민에 추대되었고, 그 외에도 수많은 명예 학위와 상을 받았다.
당시 여성 작가들 사이에서는 그리스 로마 신화를 대중이 가볍게 읽을 수 있도록 각색하거나 윤색하는 것이 유행했다. 하지만 고전학자 특유의 자부심으로 해밀턴은 각색보다는 원전의 맛을 최대한 살리는 방향을 선택했다. 고대 그리스 작가 호메로스, 헤시오도스, 에우리피데스부터 로마 작가 오비디우스, 베르길리우스까지, 나아가 역사학의 아버지 헤로도토스와 철학의 아버지 플라톤에 이르는 수많은 고대 원전을 연구하고 그중 최고 작품만을 엄선해 신화의 정수를 담아내려고 했다. 고전 문학에 대한 남다른 탐구열과 섬세한 분석력으로 『해밀턴의 그리스 로마 신화』라는 역작을 남길 수 있었다.
해밀턴은 단순히 고전을 ‘수집’만 한 것은 아니다. 고대 원전을 비교 분석한 뒤 각 이야기 첫머리에 어떤 작가의 작품을 참고했는지, 그 작가의 특징과 관전 포인트는 무엇인지 간결하게 설명해놓았다. 예컨대, 농부 출신 헤시오도스는 순수하고 경건한 문체가 돋보이는 반면, 도시 귀족 출신 오비디우스는 세련되고 수사학적인 문체가 두드러진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 대한 재해석도 인상적이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신화를 통해 세계를 나름대로 합리적으로 설명하려고 했다. 그들 생각에, 천둥과 번개는 제우스가 벼락을 내리칠 때 일어나는 일이고, 화산 폭발은 거대한 산에 갇혀 있는 괴물이 탈출하려 애쓸 때 일어나는 현상이었다. 북두칠성은 여신의 명령으로 수평선 아래로 지는 법이 없었다. 저자가 보기에 신화는 ‘판타지’가 아니라 ‘고대의 과학’이었다. 저자에 따르면 이 시기에 비인간적인 주술과 마법에 대한 숭배에서 벗어나 새로운 사고(思考) 혁명이 움트기 시작했다고 보았다.
고대 그리스부터 20세기까지
총 100편의 예술 작품으로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음미하다
서양에서는 중세가 막을 내리고 르네상스 시대가 시작되면서 잃어버린 고대 그리스 로마 문화를 ‘부활’시키는 거대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예술가들은 저마다 그리스 로마 신화의 명장면들을 캔버스에 실감 나게 재현했다. 중세의 경직되고 천편일률적인 스타일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역동적인 신화의 향연을 화폭에 펼쳤다. 중세 천년 동안 억눌려 있던 인간의 자각과 욕망이 폭발적으로 분출하는 순간이었다. 이러한 욕망의 재현은 바로크 시대에 가면 절정에 이른다.
이 책 표지에도 실린 페테르 파울 루벤스는 바로크 시대의 대표적인 플랑드르 화가였다. 그는 관능적인 육체 묘사와 역동적인 움직임, 빛과 그림자 기법 등을 이용해 인간 내면의 희망과 좌절, 기쁨과 슬픔, 선과 악 등을 격정적으로 표현했다. 「파에톤의 추락」은 하늘을 올라가려는 인간의 끝없는 욕망과 한계에 부딪혀 좌절하는 모습을 한 폭의 그림에 밀도 있게 그려냈다.
시대가 다르고 사는 곳도 바뀌었지만, 인간은 끊임없이 신화를 읽고 재해석하면서 마음속에 ‘자기만의 신전’을 지어왔다. 이러한 찬란한 발자취를 담아내기 위해 이 책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르네상스 시대, 바로크 시대를 거쳐 20세기까지 수십 명의 예술가가 그리스 로마 신화를 주제로 창작한 회화 및 조각 작품 총 100편을 정선해 수록했다.
조각은 주로 작자 미상의 고대 작품이 많고, 카노바 등 근대 작품도 포함되어 있다. 회화는 대부분 르네상스 이후의 작품들이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라파엘로, 보티첼리, 자크 루이 다비드, 카라바조, 루벤스, 렘브란트, 장 제롬, 마티스,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 등 16세기부터 20세기까지 500년간 거장들의 작품을 가려 뽑아 이 책 한 권에 모았다. 텍스트와 함께 다채로운 이미지와 걸작을 감상하다 보면, 독자들은 다양한 시선으로 신화를 음미하고 즐기는 법을 터득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