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교육회는 1902년에 결성된 경성교육회를 모체로 1910년 12월에 조직된 교육단체다. 1915년 조선교육연구회로 축소 개편되었다가 1922년 조선교육령이 개정되면서 이듬해 다시 조선교육회로 확대되었다. 조선교육회는 총독부의 학무국 내에 본회를 두고 각 도교육위원회를 지회로 두었으며, 그 밑에 각 府?郡?島교육회를 분회로 설치하였다. 본회의 임원은 회장, 부회장, 평의원 및 간사를 두었다. 역대회장은 정무총감이 맡았고 부회장 2인을 두었는데 학무국장과 조선인이 각각 맡았다.
조선교육회의 회원은 명예회원, 특별회원, 보통회원이 있었는데 명예회원은 학식과 덕망이 우월한 자, 특별회원은 특별한 공적이 있는 자로 규정하였다. 보통회원은 교육에 종사하는 일반 인사로 1923년 말 8,860명이었다. 1926년부터 회원 모집운동을 전개하면서 1만 명을 넘게 되었다. 이후 1939년에 2만 명을 돌파하였고 1940년에는 3만 명에 달하였다. 이렇게 회원이 증가하는 것은 교직원 수가 증가했기 때문이었다. 특히 이것은 공립보통학교의 학생, 교직원 수가 증가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이 회원들에게 배포한 것이『文敎の朝鮮』(1925~1945)이었다.
『文敎の朝鮮』에는 문예와 창작, 총독부 관료들의 식민통치론, 일본지식층의 교육담론, 일본정치가의 조선정책론, 일본정계의 동향, 재조일본인의 조선 풍속?인구 및 지질조사, 李軫鎬, 韓相龍 등 친일적 인사의 기고문, 일제강점기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가 수록되었다. 그러므로『文敎の朝鮮』은『朝鮮及滿洲』(1912~1941),『朝鮮公論』(1913~1944)과 함께 일제강점기의 식민통치, 교육, 사회, 문화를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조선교육회는 1902년에 결성된 경성교육회를 모체로 1910년 12월에 조직된 교육단체다. 1915년 조선교육연구회로 축소 개편되었다가 1922년 조선교육령이 개정되면서 이듬해 다시 조선교육회로 확대되었다. 조선교육회는 총독부의 학무국 내에 본회를 두고 각 도교육위원회를 지회로 두었으며, 그 밑에 각 府?郡?島교육회를 분회로 설치하였다. 본회의 임원은 회장, 부회장, 평의원 및 간사를 두었다. 역대회장은 정무총감이 맡았고 부회장 2인을 두었는데 학무국장과 조선인이 각각 맡았다.
조선교육회의 회원은 명예회원, 특별회원, 보통회원이 있었는데 명예회원은 학식과 덕망이 우월한 자, 특별회원은 특별한 공적이 있는 자로 규정하였다. 보통회원은 교육에 종사하는 일반 인사로 1923년 말 8,860명이었다. 1926년부터 회원 모집운동을 전개하면서 1만 명을 넘게 되었다. 이후 1939년에 2만 명을 돌파하였고 1940년에는 3만 명에 달하였다.
차례:『文敎の朝鮮』은 일본어로 발행된 월간 종합잡지로 1925년 9월호부터 1945년 1월호까지 총 229호가 발행되었다. 창간호가 나온 이래 1 차례의 휴간(1943년 3월)과 3차례의 합병호를 제외하고 20년 동안 간행되었다.
조선교육회는 1902년에 결성된 경성교육회를 모체로 1910년 12월에 조직된 교육단체다. 1915년 조선교육연구회로 축소 개편되었다가 1922년 조선교육령이 개정되면서 이듬해 다시 조선교육회로 확대되었다. 조선교육회는 총독부의 학무국 내에 본회를 두고 각 도교육위원회를 지회로 두었으며, 그 밑에 각 府?郡?島교육회를 분회로 설치하였다. 본회의 임원은 회장, 부회장, 평의원 및 간사를 두었다. 역대회장은 정무총감이 맡았고 부회장 2인을 두었는데 학무국장과 조선인이 각각 맡았다.
조선교육회의 회원은 명예회원, 특별회원, 보통회원이 있었는데 명예회원은 학식과 덕망이 우월한 자, 특별회원은 특별한 공적이 있는 자로 규정하였다. 보통회원은 교육에 종사하는 일반 인사로 1923년 말 8,860명이었다. 1926년부터 회원 모집운동을 전개하면서 1만 명을 넘게 되었다. 이후 1939년에 2만 명을 돌파하였고 1940년에는 3만 명에 달하였다. 이렇게 회원이 증가하는 것은 교직원 수가 증가했기 때문이었다. 특히 이것은 공립보통학교의 학생, 교직원 수가 증가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이 회원들에게 배포한 것이『文敎の朝鮮』(1925~1945)이었다.
『文敎の朝鮮』은 일본어로 발행된 월간 종합잡지로 1925년 9월호부터 1945년 1월호까지 총 229호가 발행되었다. 창간호가 나온 이래 1 차례의 휴간(1943년 3월)과 3차례의 합병호를 제외하고 20년 동안 간행되었다. 휴간과 합병호 발행은 전시통제기 배급용지가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이런 현상은 발행면수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처음에 150쪽에서 200쪽 정도의 분량이 1941년 이후에는 대폭 축소되어 30쪽에서 50쪽 가량 되었다. 그러나 발행부수는 1930년 13,550부, 1938년 21,495부, 1944년 35,900부로 늘어났다.
학무국장으로 조선교육회의 부회장을 맡고 있던 李軫鎬는『文敎の朝鮮』의 간행의의를 창간호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조선교육회는 會를 위한 會가 아니고 회원을 위한 會이며 조선교육을 위한 會이다. 조선교육회는 다수의 회원을 포용하고, 회원은 보편적으로 각지에 산재하고 있으며 회원은 각 방면의 인사를 망라한 會이다. 그렇다면 본회의 왕성 여부는 조선교육자는 물론 조선통치에 지대한 관계가 있는 매우 유력한 단체의 하나라고 단언해도 과언이 아니다. (중략) 이에 『敎育時報』를 개조하여『文敎の朝鮮』을 발행하는데 교육 및 그 당사자의 임무를 반성하고 나아가 분투의 길을 비추는 탐조등이 되어 더욱 유력한 본회로 번창하여 그 임무를 완수하기 바란다.
조선교육회의 역할은 총독부의 관변단체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조선교육회가 추진한 사업은 교육에 관한 의견 발표, 교육자료 조사, 잡지발행 및 도서발행, 교육유공자 표창, 학술강연회 및 강습회 개최, 사회교육 시설 및 지도 장려, 교육사정 소개, 학사시찰 등이었다. 이러한 사업의 일환으로 『文敎の朝鮮』을 발행하여 총독부의 통치방침에 협조한 것이었다.
『文敎の朝鮮』은 창간호에서 지면을 권두언, 학설, 연구, 만화, 잡록, 문예, 휘보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후 강연, 논설, 창작 등이 추가되었다. 문예와 창작은 희곡, 동화, 여행기, 수필, 영화시나리오, 短歌, 하이쿠(俳句) 등으로 구성되었다. 1928년 10월부터는 총독의 훈시가 등장하였고, 이어서 칙어와 정무총감 담화가 함께 나타났다. 1929년 9월 이후에는 영역을 구분하지 않았으며 문예, 창작은 줄어들었다. 1934년 5월부터는 훈시, 御誓文, 칙어, 황국신민서사 등이 게재되었다. 발행초기에는 교육에 관한 학설, 연구 등이 주류를 이루었고, 휘보에서는 법령개정이나 강습회 소식, 논문현상모집요령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아울러 당시의 시대상황에 따라 총 45회 특집호를 발행했는데 13회의 교육총회나 대의원회관련 특집을 제외하면 32회의 특집호를 편성한 셈이다.
이 잡지에 연구와 학설, 논설 등을 집필한 사람은 주로 총독부의 관료, 경성제국대학 교수였고, 그 외에도 일본의 대학 교수, 사범학교와 각급학교의 교원 그리고 군인들이 있었다. 그들은 총독부의 교육정책을 입안하는 실무자, 교육정책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연구자, 실제 학습현장에서 그러한 정책을 실행하고 지도해 가는 담당자들이었다.
일본은 1930년대에 접어들면서 군부의 입김이 강화되는 가운데 1931년 만주침략을 감행하였다. 침략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일본 본토만이 아니라 식민지 조선을 전쟁동원 체제로 만드는 정책을 전개하였다. 만주사변이 발발하기 3개월 전에 우가키 가즈시게(宇垣成一)가 조선총독에 취임한 이래 1936년 미나미 지로(南次郞), 1942년 고이소 쿠니아키(小磯國昭), 1944년 아베 노부유키(阿部信行)가 각각 총독에 취임하였다. 일본은 이 기간 동안 대외적으로는 중일전쟁(1937), 아시아태평양전쟁(1941)을 일으켜 침략전쟁을 추진하고 대내적으로는 국가총동원체제를 구축하였다. 이는 농촌진흥운동(1932~40), 황국신민화운동(1936), 국민정신총동원운동(1938), 국민총력운동(1940) 등을 통해 구체화되었다.
조선교육회는 총독부가 추진한 이러한 정책에 발맞추어『文敎の朝鮮』의 성격도 크게 변화시켜 갔다. 초기에는 식민교육의 담당자인 교사들에게 필요한 교수방법이나 외국의 교수이론을 소개하였으며 총독부의 교육정책을 설명하였다. 나아가 수업료의 징수문제, 일본어 교육방법 등에 관한 여러 정보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만주사변 발발이후 총독부의 시정방침에 따라 황민화교육에 중점을 둔 내용으로 교육정책을 선전하였고 전시 비상시국의 상황을 반영하였다.
『文敎の朝鮮』특집호는 1930년 이전에는 경성제국대학 개학이나 백두산답사, 학교체육, 은사기념과학관 개관, 국어교육, 국사과 교수법 등 교육관련 주제를 소개하였다. 이후에는 ‘황국신민화’ ‘내선일체화’ 교육정책을 선전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여 ‘교육칙어’ 환발 및 하사 기념호나 국체 본의, 사상문제, 기원 2600년 기념호를 통해 일본정신 및 황도정신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조선교육령과 3대 교육강령, 육군지원병령 시행, 국민정신총동원, 징병제도 실시 문제를 다루었다.
이와 같이『文敎の朝鮮』에는 문예와 창작, 총독부 관료들의 식민통치론, 일본지식층의 교육담론, 일본정치가의 조선정책론, 일본정계의 동향, 재조일본인의 조선 풍속?인구 및 지질조사, 李軫鎬, 韓相龍 등 친일적 인사의 기고문, 일제강점기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가 수록되었다. 그러므로『文敎の朝鮮』은『朝鮮及滿洲』(1912~1941),『朝鮮公論』(1913~1944)과 함께 일제강점기의 식민통치, 교육, 사회, 문화를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