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새마을운동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새마을운동은 지역주민들이 우리도 한번 잘살아 보자는 가치관의 확립으로 의지를 갖고 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하여 자율적이고도 적극적인 참여로 전체 지역사회의 복지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실천운동이다. 이제 글로벌 시대에 맞춰 ‘새마을운동의 세계화’를 희망하는 개발도상국들에게 뉴 새마을운동의 실천모형과 실천방법론을 국제적 교육협력 사업을 통한 지원협력의 방책으로 구상하였다. 한국은 새마을운동 종주국(宗主國)으로서의 역할을 세계 속으로 확대해 나가야 할 인류문명사적 사명을 느껴야 한다.
뉴 새마을운동의 기본철학은 ① 세상의 빛과 소금되기 운동 ② 온 인류에 생명수 주기운동 ③ 맑고 향기로운 사회 만들기 운동 ④ 총체적 사회개혁을 위한 시민운동 ⑤ 우리 모두가 뿌리노릇과 청지기 사명 다하는 운동 ⑥ 평화, 생명, 산업사랑 한 식구(食口)되기 운동 ⑦ 각 사람들은 자기가 가진 지식, 물질, 권력, 지위, 명예, 재능을 좋은 세상 만들기 공동선(Common goods)에만 쓰는 운동 ⑧ 인간생활정주권(Human Settlements)중심 지역발전운동 ⑨ 성숙한 새마을 새나라를 만드는 새정신 문화운동을 중심으로 활성화하여 총합사회 발전운동으로 지속하자는 것이다.
우리는 ‘식민지, 전쟁, 분단의 한과 갈등’ 속에서 무지와 빈곤의 눈물을 머금고 황무지에서 장미꽃을 피웠으며, 초가집을 없애고 마천루 빌딩도시를 건설하였고, 한강의 기적을 이룬 선망의 나라가 되었다. 지구촌 환경은 많은 위험과 기회를 동일하게 갖고 있다. 이에 대한 선택과 변화, 도전, 창조의 힘과 지혜를 발휘해야 함은 우리의 책무가 아닌가!
평화와 생명생존을 위협하는 현상과 확실함이 없는 미래, 총체적인 부패와 심각한 갈등 양상들, 안정적 자원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공생발전의 대응전략, 대응을 위한 구체적인 모색, 개인, 기업, 국가차원의 새로운 리스크관리, 현재진행형인 인간, 공간, 시간의 3차원 변화에 도전과 응전의 전략론을 중심으로 현상을 분석하고 미래를 전망하여 새로운 대응논리를 이 책에서 찾고자 하였다.
--저자의 머리말 중에서
오늘만이 아닌 미래 중심
일회성이 아닌 지속가능한 발전 중심
지역, 계층, 세대, 인종, 종교 간의 갈등이 아닌 상생과 총체적 조화 중심
위대한 꿈을 가진(Great Dream Generation) 지구촌 민주시민 교육 중심
기능올림픽, 문화올림픽 허브국가 만들기 중심
평화, 생명, 산업 사랑의 공동체 운동 중심
생활의 과학화, 선진화, 복지사회 만들기 운동 중심
공정사회 만들기 도덕부흥 운동 중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