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판 로빈슨 크루소’
문명과 야만, 이성과 광기의 눈부신 고찰
첫 소설에 수여하는 2012 공쿠르상 수상작
장 지오노 상, 아메리고 베스푸치 상 등 8개 문학상 석권!
2012년 공쿠르 신인상을 수상한 《흰둥이 야만인에게 무슨 일이 있었나》는 ‘문명’과 ‘야만’이라는 대립되는 개념을 몸소 경험한 실존인물 ‘나르시스 펠티에’의 삶을 소설적 상상력으로 재구성한 작품이다. 한 편의 영화를 보는 것 같은 강력한 서사와 팽팽한 긴장감으로 페이지를 쉼 없이 넘기게 하는 이 소설은 프랑스에서 첫 소설에 수여하는 공쿠르상을 비롯하여 장 지오노 상, 아메리고 베스푸치 상, 엠마뉘엘 로블레스 상, 리모쥬 문학상, 에드메드라로슈푸코 상, 오르탕스 뒤푸르 상, 모리스 두세 독자상을 수상했다.
“로빈슨 신화와 인류학 탄생의 만남” - [르몽드]
- ‘문명/야만, 이성/광기’의 이분법적 사고에 대한 통렬한 비판
이 모험을 통해 저 자신도 변화한 것이 아닐까요? 제가 관찰을 심화하면 할수록 제가 가진 평소 신념이 뿌리째 흔들립니다. 도대체 야만인이라는 것이 무얼까요? 제가 그를 가르친다니, 그와 나 둘 중 과연 누가 배우는 입장일까요? - 본문 중에서
자연에 대한 인간의 승리를 주제로 하는, 대니얼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 이 불멸의 명작으로 꼽히는 고전을 가리켜 프랑스 최고 지성 작가인 미셸 투르니에는 ‘타자/야만(프라이데이)에 대한 서구/문명(로빈슨)의 우월함을 역설하는 치명적인 문제를 지닌 작품’이라고 지적하며, 《로빈슨 크루소》의 풍자 소설이자 패러디인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을 써냈다. 아카데미 프랑세즈 대상을 수상한 이 소설에서는 로빈슨과 방드르디(프라이데이의 불어식 발음)가 대등한 관계를 이루고 있다.
앞서 언급한 두 소설에서 ‘문명’과 ‘야만’이 독립적 개념으로서 대립항을 이루고 있었다면,《흰둥이 야만인에게 무슨 일이 있었나》에서는 이 대립되는 개념이 기묘하게도 한 인물의 내부에 공존하고 있다. 주인공 ‘흰둥이 야만인’, 즉 나르시스 펠티에는 ‘로빈슨’인 동시에 ‘방드르디’이자, 그의 관찰자 옥타브에 따르면 ‘발버둥 치는 뱃사람’인 동시에 ‘고약한 야만인’인 셈이다.
소설은 3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나르시스의 과거를 다루는 장과 지리학자 옥타브 드 발롬브룅이 파리 지리학회장에게 보내는 편지가 교차하며 진행된다. 소위 ‘야만족’의 재사회화를 거치며 문명의 기억을 모두 잊은 나르시스와, 그를 맡아 거둔 지리학자 옥타브 드 발롬브룅. 둘 사이의 교류가 깊어질수록 나르시스는 문명사회에 다시 적응하는 자신만의 방법을 찾고, 옥타브는 그간 자신이 지니고 있던 ‘문명/야만’, ‘이성/광기’, ‘진보/퇴행’ 등의 대립항이 산산이 부서져 나감을 깨닫는다. [르몽드]의 표현을 빌리자면 “로빈슨의 신화와 인류학의 탄생이 대면”하고 있는 이 소설은 당시 서구 사회가 ‘비문명 사회’ 에 대해 지니고 있던 선입견과 오만함을 생생하게 그려내 보이고 있다.
야만인에 대한 백인의 우월성을 증명하는 그 많은 사례들, 언제나 한결같은 양상으로 발휘되는 문명의 흡인력이야말로 보편적 양식(良識)이 주장하는 바를 확실하게 뒷받침해 왔습니다만……, 나르시스만은 예외인 거죠. - 본문 중에서
“우리는 나르시스의 영혼을 하나의 전쟁터로 인식해야 합니다.”
- 고독과 미지의 땅에서 희망 하나로 살아남은 한 인간의 위대한 생존 실화
이 고독과 미지의 땅에서 그는 이미 죽은 것이나 다름없었기에
죽음은 더 이상 낯설지도, 무섭지도 않았다.
그러니 살아야 했다. 살아야만 했다. - 본문 중에서
흥미로운 것은 이 소설이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시 섬에 표류하여 17년간 원주민들과 함께 생활한 19세기의 프랑스 선원 나르시스 펠티에(Narcisse Pelletier)의 실화를 재구성한 소설이라는 사실. 뉴칼레도니아 행정국장으로 있던 저자는 우연히 접한 이 나르시스라는 인물에 매료되어 그를 주인공으로 한 소설의 집필에 십여 년간 매달렸고, 마침내 [렉스프레스]가 ‘고전적이고 우아한 문장’이라고 평가한, 신인 작가답지 않은 중후한 문체로 자신만의 나르시스를 탄생시키기에 이르렀다.
스무 살이 채 되지 않은 어린 나이에 문명과 야만의 세계를 두 번씩 넘나든 나르시스 펠티에. ‘야만’의 세계, 즉 모든 상식과 관념, 사용하는 언어조차 모두 다른 세계에서 나르시스는 소통의 단절을 맛본다. 이미 ‘사회적 죽음’을 맛본 그에게 죽음은 “낯설지도, 무섭지도” 않은 존재이기에, 더욱 치열하게 살아갈 수밖에 없었다.
물리적이고 사회적인 ‘생존’이 그의 외부적 싸움이라면, 그의 내부에서는 ‘선원’과 ‘야만인’라는 두 가지 자아가 싸움을 벌인다. “두 세계를 동시에 머릿속에 담을 수 없음으로 인한 죽음, 동시에 흰둥이와 검둥이로 존재하지 못하는 데서 오는 죽음”이 그의 내면을 놓아주질 않는 것이다. 그리하여 영혼의 내면이 ‘전쟁터’처럼 너덜너덜해진 나르시스는, 그럼에도 실낱같은 희망을 붙들고 자신의 실존을 찾아 나아간다. 시련 앞에서 굴복하지 않은 한 인간의 위대한 생존기는, 실화를 바탕으로 했기에 독자들에게 더 큰 울림을 가져다준다.
나르시스는 결코 절망하지 않았고, 자신의 운명을 신의 손에 맡겼습니다. ‘주기도문’이나 ‘사도신경’은 잊었을지언정, 그는 모든 의미에서 자신의 십자가를 짊어진 사람이었습니다.
- 본문 중에서
이 책에 쏟아진 해외 언론의 찬사
“프랑수아 가르드는 로빈슨의 신화와 인류학의 탄생을 대면시키고 있다.” - [르몽드]
“현대의 ‘루소적’ 찬가이자 인문주의적 우화.” - [레제코]
“이 책은 뜻밖의 기쁨 그 자체이며, 인간의 이중적 자아에 관한 놀라운 소설적 탐구이다.” - [프랑스퀼튀르]
“고전적이고 우아한 문장으로 쓰인 흥미로운 모험 소설이자, 정체성과 차이에 관한 고찰의 기록.” - [렉스프레스]
나르시스 펠티에 관련자료
나르시스 펠티에(Narcisse Pelletier, 1844~1894)는 1857년에 14세의 나이로 견습선원이 되었다. 일 년 뒤 1858년, 뉴기니의 로셀 섬 근처에서 그가 탄 배가 난파하여 공격을 받았고, 나르시스와 몇몇 선원만이 작은 보트를 타고 도망쳐 간신히 살아남았다.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로 떠내려온 보트는 물을 찾기 위해 작은 섬에 정박했고, 그 과정에서 나르시스는 혼자 떨어져 나오게 되었다. 보트는 그대로 출발했고, 혼자 버려진 나르시스는 거의 빈사 상태에서 한 아보리진(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가족에게 발견되어 구조되었다. 그는 아보리진 무리에 흡수되어 ‘암글로’라는 이름을 받아 17년 동안 아보리진 젊은이로서 살았다. 이 동안 어린 아보리진 소녀와 결혼해 둘, 또는 세 아이를 낳았다고 한다.
1875년, 31세가 되던 해에 나르시스는 해변에 나와 있다가 그곳에 정박한 영국 배 존벨 호에 의해 타의로 구조되었고, 왕립기술협회의 존 오틀리 경에게 맡겨졌다. 프랑스에서 수학한 덕에 불어를 할 줄 알았던 오틀리는 나르시스가 불어를 다시 할 수 있도록 가르쳤는데, 나르시스는 무서운 속도로 자신의 언어를 되찾아나갔다. 오틀리는 나르시스와 나눈 대화를 1923년에 쓴 한 편지에 모두 기록해 놓았다. 시드니에 도착한 나르시스는 프랑스 영사 조르쥬-외젠 시몽의 보호 하에 프랑스로 돌아오게 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 언론에서 ‘흰둥이 야만인’이라는 별명을 붙였던 나르시스는 마침내 1876년 1월에 고향 생질쉬르비로 돌아올 수 있었다.
그해에 낭트 출신의 의학자 콩스탕 메를랑은 나르시스 펠티에에 관한 증언록 《야만인들과의 17년》이라는 책을 저술했다. 나르시스는 루아르 섬의 등대지기로 근무하던 중 1880년에 루이즈 마비요와 결혼했으며 아이는 갖지 않았다. 1894년에 생 나자르에서 생애를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