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 노래가 있었는데 잊고 살았네…’ 새삼 무릎을 친다. _양희은 가수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었습니다. _김연수 소설가거짓말 못 하는 진심이어서 담백하고 편안하고 깨끗하다. _신원호 PD냉철함과 다정함의 언어로나를 다독이는 음악 심리학 싱어송라이터이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김창기. 〈널 사랑하겠어〉 〈혜화동〉 〈흐린 가을 하늘에 편지를 써〉 〈기다려줘〉 〈그건 너의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 때문이야〉 〈그날들〉 등 사랑받는 노래를 만들어온 그가, 주저앉고 다시 일어서기를 반복하는 사람들에게 말을 거는 책 《노래가 필요한 날》을 펴냈다. 이 책에는 때론 쓸쓸하고 착잡하게, 때론 아릿하고 느껍게, 때론 거침없이 자유롭게 살아가며 써 내려간 진솔한 이야기로 가득하다.김창기는 무뚝뚝한 아버지가 뒤늦게 유머 공부하는 모습을 보며 ‘유머가 관계를 수월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새삼 되뇌고, 무릎에 꺾인 날 어머니가 말없이 차려주신 밥상에 “다시 현실을 직면할 힘”(161쪽)을 얻었다고 고백한다. 말이 더디고 말수가 적은 동진 선배에게서 “무엇을 말하는가보다 어떻게 말하는가”(45쪽)가 중요한지 배우고, 철부지 어린 시절을 함께한 김광석이 있었기에 음악을 포기하지 않을 수 있었다고 고마움을 밝힌다. 노랫말의 울림과 심리학의 지혜가 어우러진 그의 글은 감정의 미세한 결을 쓰다듬고 의연하게 살아가는 방법을 보여주며, "넌 패자가 아니야. 살아남은 사람이지"(82쪽)라고 나긋하게 말을 건넨다. 낮에는 정신건강을 돌보는 의사로, 밤에는 노래를 부르는 가수로 살면서, 보고 느낀 이야기가 고스란히 녹아 있다. “사람은 강한 감정을 유발하는 사건이 일어날 때 들었던 소리나 배경음악을 그 감정과 연결해 저장하고, 그 감정을 유발하는 사건을 겪거나 기억할 때 그 소리나 노래를 다시 듣게 됩니다. 전쟁의 포성이나, 연인에게 버림받을 때 찻집에서 흐르던 노래처럼 말이죠. 저는 운이 좋은 편입니다. 이렇게 좋은 노래와 좋은 사람들과 평생 연결되어 있을 테니까요.” _16쪽마음에 금이 간 하루를 보낸당신에게 건네는 77곡의 플레이리스트우리는 왜 노래를 부르고 듣는 것일까. 뇌과학적인 분석을 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점은 노래가 내 속마음을 알아주고 다독여준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책 제목처럼 우리에겐 분명 《노래가 필요한 날》이 있다. 저자 김창기의 말에 따르면 음악은 정서적 인지적 발달에 도움을 준다. 숫자가 아닌 멜로디로 말을 걸며 감정을 움직인다. 여기에 좋은 이야기까지 담긴 노래는 생각과 감정을 정리하는 도구가 된다. 음악으로 상처를 완벽하게 치유할 순 없지만, 음악 덕분에 우리는 덜 번민하는 사람으로 산다.《노래가 필요한 날》은 진짜 나를 찾고 싶을 때, 사랑에 아프고 힘들 때, 관계가 꼬였을 때, 마음이 요동칠 때, 삶의 폭풍우에 휘청일 때 들으면 좋은 노래 77곡을 소개한다. 조바심내지 않고 새롭게 시작하자고 말하는 김동률의 〈출발〉, 칭얼대지 않고 담담하게 이별의 비극을 풀어놓는 이소라의 〈바람이 분다〉, 대한민국 엄마와 딸의 심금을 두드린 양희은의 〈엄마가 딸에게〉, 화해하고 잘 지내기를 염원하는 엘턴 존의 〈Sorry Seems to Be the Hardest Word〉, 서로 사랑하고 사는 세상이 멋지지 않냐고 노래하는 루이 암스트롱의 〈What a Wonderful World〉까지 국내 가요와 해외 노래를 엄선하여 실었다. “마음이 복잡할 때는 세상모르고 살게 해주는 노래가 필요합니다. 노래를 들으며 쉬어보세요. 지치지 않을 수 있고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판단에 근거한 언행으로 내 앞에 닥친 문제를 해결할 힘을 얻을 수 있을 테니까요.” _246쪽인생에서 숱하게 맞닥뜨리게 될 다섯 가지 주제에 관한 따스한 참견과 응원이 책은 총 5장에 걸쳐 나, 사랑, 관계, 마음, 인생에 관한 주제를 다룬다. 1장은 나를 찾아가는 길에 관한 글을, 2장은 사랑에 관한 고민과 성찰을, 3장은 타인과 더불어 사는 방법을, 4장은 내면의 입자를 부드럽게 만드는 과정을, 5장은 성장하고 발전하는 인생을 살기 위한 태도에 대한 사유의 조각을 담았다.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있는 그대로의 나를 사랑하는 연습이 필요하고, 먼저 사랑한다고 말하는 용기를 내고, 승패나 흑백으로 구분할 수 있는 관계에 대해 이해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언급한다. 김창기는 삶은 불확실하며 지금 내가 손에 쥐고 있는 것을 영원히 쥐고 있을 수는 없다는 사실을 수긍하고, "우리가 가진 한계에서 무엇을 지키고 버릴지 우선순위"(227쪽)를 정해야 행복해질 수 있다고 말한다.그는 한 방송에서 故 김광석과 '동물원'으로 함께 활동했던 시간을 돌이키며, “내가 너에게 좋은 친구였니? 아닌 것 같아서” 하며 눈물을 글썽였는데, 이는 평범한 사람과 다를 것이 없는 한 사람의 모습을 보여준다. 안정적으로 사는 사람이지만 어둠이 있고, 어둠을 느끼며 살기에 빛을 소중하게 여기는 그런 사람 말이다. 그래서인지 거창한 욕심을 부리지 않고 주변과 조화롭게 살고 싶다고 털어놓으며, 잘 살아보자고 우리에게 위로를 건넨다. 특히 "인생의 정답을 모르고 불안정한 사람이라 우왕좌왕했지만, 의미와 균형을 찾으려고 노력했다"(53쪽)는 고백은 가슴 깊이 공감할 만하다.“저는 ‘내일은 더 좋은 날일 거야’라고 믿는 낙천주의자가 되기 위해 노력합니다. 제 어머님의 가르침 때문이죠. 어머니는 늘 말씀하셨습니다. “못 먹어도 고야! 그리고 내가 지면 무조건 삼세판이야!” 새 출발을 해도 언제나 삶이라는 게임의 규칙은 같습니다. 긍정적인 생각, 적극적인 태도, 현실적인 기대를 품고 조금 더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 인내하며, 조금씩 꾸준히 앞으로 나아가기.“ _80쪽노랫말의 울림 × 심리학의 지혜주춤대고 길을 잃어버린 저녁에 읽기 좋은 책음악과 심리학은 이 책의 큰 축이다. 노래에는 낭만이 있다. 절망이 있다. 희망이 있다. 사랑이 있다. 그래서 우리는 노래를 들으며 인생을 배운다. 심리학은 사람이 주인공인 학문이다. 인간의 내면을 파고든다. 왜 이렇게 살 수밖에 없는지 원인을 찾아내며 더 나은 삶을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그래서 우리는 심리학을 공부하며 ‘나’를 조금 더 이해하게 된다. 이 책은 진솔한 노래의 ‘감성’과 냉철한 심리학의 ‘이성’이 섞여 특별한 공감과 사유를 창조해낸다. 속수무책 버티는 우리들의 굽은 마음을 헤아리고, 인간과 세상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기회를 선사하며, 앞으로 나아가는 힘을 기르는 길로 우리를 이끈다.“노래할 기회가 왔을 땐, 망설이지 말고 노래해. 하고 싶은 일을 할 기회가 왔을 땐, 고민하지 말고 해봐. 시작이 두렵거나 상황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가만히 있으면 재미없잖아. 넘어짐과 일어섬을 반복하다 보면 인생이 괜찮은 모험과 도전의 연속이란 걸 알게 될 거야. 호기심과 감사함을 잃지 않고, 당연한 것은 하나도 없다는 사실을 잊지 않고, 익숙한 길에서 벗어나서 더 먼 곳을 바라보며 너의 삶을 살아보렴.” _279~28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