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 박물관과 같은 나라 터키
가장 오래된 주거지인 차탈회위크가 터키의 신석기시대를 말해주고 있으며, 철의 제국 히타이트와 미다스 왕으로 잘 알려진 황금의 나라 프리기아가 뒤를 잇는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 제국의 도시들이 에게해 연안의 트로이, 스미르나(이즈미르), 페르가몬(베르가마), 비잔티움, 히에라폴리스 등에 줄줄이 세워져 활발한 활동을 하며 폴리스를 발달시켰고, 그리스·로마 제국의 문화유산들이 현재에도 터키 곳곳에 남아 있다. 이후 요한계시록에 기록된 초대 일곱 교회가 터키 땅에 자리 잡았으며, 서구 기독교 문명의 중심인 비잔티움 제국이 330년 수도를 비잔티움(콘스탄티노플, 이스탄불)으로 옮겨왔다. 1,100여 년간 터키 땅에는 비잔티움 문명이 꽃을 피우고, 성소피아성당이라는 그리스정교의 정신적 중심지이자 비잔티움 양식의 대표적인 건축물이 탄생하게 되었다. 성소피아성당은 터키사의 상징물과도 같은데, 기독교 성당에서 이슬람의 모스크로 변해간 역사가 동서양 문명의 교차로인 터키사를 대변한다.
터키 땅에서 비잔티움 제국이 번성하고 있을 무렵, 현대 터키인의 조상인 튀르크족은 몽골 초원에서 유목 생활을 하다가 몽골 초원을 중심으로 한 동튀르크 제국과 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서튀르크 제국으로 나뉘어 발전했다. 서튀르크 제국은 비잔티움 제국과 교역하면서 비단길을 중심으로 활동했는데, 이슬람교를 받아들였고 점차 서쪽으로 이동해 와 오늘날 터키인의 조상이 되었다. 이렇게 세워진 셀주크 튀르크 제국의 역사와 1,000여 년의 역사를 가진 기독교 세계의 정신적 지주였던 비잔티움 제국을 무너뜨리고 등장한 이슬람교를 믿는 오스만 제국의 역사가 곧 오늘날 터키의 역사이다. 이처럼 히타이트 문명과 그리스·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의 문화와 오스만 제국의 역사를 모두 품은 나라 터키는 동서양 문명이 서로 만나고 얽히며 만들어진 역사이다. 서로 이질적인 문명이 어떻게 서로를 포옹하며 공존하는지, 그 지혜를 터키의 역사는 고스란히 들려준다. 더불어 이 책은 오스만 제국에서 1923년 터키 공화국으로 전화되는 과정과 터키 공화국 수립 이후 역시 자세하게 조망함으로써 현대사 비중을 높여 현대의 터키를 이해하고, 현대 세계를 읽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낯선 역사에 대한 따뜻한 시선과 친절한 서술
터키에 대한 대중적 관심은 2002년 월드컵을 치루면서 급격히 높아졌다. 이후 그들의 독특하고도 매력적인 역사와 문화에 대한 관심이 점차 확산되었고, 터키 여행 붐이 일기도 했다. 이에 힘입어 터키를 소개하는 책들도 많아졌지만, 대개가 여행 안내서이거나, 좀 더 나가면 터키의 역사적 수도라 할 수 있는 이스탄불을 조망한 책이 전부였다. 이에 터키에 대한 본격적인 역사서로서 이 책은 기획되었고, 터키사를 처음 읽는 독자들에게 초점을 맞춰 집필되었다. 낯선 공간과 익숙하지 않은 사건들로 구성된 다른 나라의 역사를 독자들에게 쉽고, 친절하게 소개하기 위해 해당 국가의 자연 환경을 충분히 머릿속에 그릴 수 있도록 시작했으며, 필요한 곳마다 적절하게 등장하는 역사 지도를 통해 공간에 대해 이해를 높였다. 또한 사료를 바탕으로 역사적 인물과 주요 사건들이 생생하게 살아나도록 이야기식 구성을 도입하여 익숙하지 않은 사건들을 그려낼 수 있게 했다.
이렇듯 복잡한 타국의 역사를 기계적으로 나열하지 않고 터키사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장면만을 역사교사들의 노하우로 잘 걸러내고, 이를 바탕으로 그 나라의 문화와 역사를 생생하게 형상화한 것은 각국사 입문서로서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다. 또한 이 책이 해당 나라에 대한 첫 인상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에, 고대부터 현대까지 이 나라를 만들어 온 사람들의 삶과 문화에 대해 따뜻한 시선을 놓치지 않도록 노력했다. 다만 문명사적 성찰을 바탕으로 세계사적 이해를 높이면서도 냉철한 역사적 반성도 소홀히 하지 않았다.
한국인을 위한 터키사
이 책은 한국 사람이 읽는 외국사라는 관점을 가지고 서술되었다.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수준에서 역사적 사실들을 선정했으며, 우리와 세계를 함께 읽을 수 있도록 구성했다. 터키사를 8개의 시기로 나누어 보여주고 있는데, 각 장이 시작되는 첫머리에 터키사와 한국사, 세계사를 동시에 볼 수 있는 연표를 둠으로써 해당 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터키사의 시대인식과 우리의 역사, 세계의 역사를 동시에 알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고구려와 튀르크 제국의 관계, 고려 시대 튀르크 족의 개경 생활, 일제시대 한반에도 거주했던 터키계 타타르인들, 한국 전쟁에 참전한 터키군 등을 소개하며 역사 속 우리와 터키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전국역사교사모임의 ‘처음 읽는 세계사’ 시리즈, 새롭게 개정
‘주연 유럽, 조연 중국’의 세계사를 넘어 ‘한국인의 눈’으로 세계사를 보자는 취지에서 ‘처음 읽는 세계사’ 시리즈가 기획됐다. 전국역사교사모임의 교사들이 5개 나라를 선정했고 현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각국의 통사를 정리하기 시작했다. 이 시리즈의 책들은 각 나라의 고유한 역사를 다루고 있지만, 세계사적 맥락 속에서 각국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했다. 세계사 속에서 주요 사건과 인물, 문명사적 의미를 익힐 수 있도록 연표와 지도를 활용해 시리즈 도서들 간의 연결점을 분명히 했다. 통사라고 해서 정치적 사건들을 연대표에 맞춰 기계적으로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그 나라의 문화와 역사를 생생하게 형상화하고 있는 것 또한 이 시리즈만의 특징이다.
2010년 이 시리즈가 출간된 후 쏟아진 많은 독자의 후기를 살펴보면, 터키 여행을 가기 전에, 인도로 출장을 떠나기 전에, 일본에 살게 되면서 그곳을 알고 싶어 책을 골랐는데, 쉽고 입체적으로 서술 덕분에 다른 나라의 책도 찾아 읽었다는 찬사의 목소리가 높았다. 앞으로도 이 시리즈가 교과서만으로 자세히 알 수 없었던 나라들의 역사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입문서로서, 또는 그 나라의 여행을 앞둔 이들에게 훌륭한 가이드북으로서 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