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을 진실하게 기록하여 역사와 후손에게 바칩니다.”
행동하는 양심, 김대중 온 생애를 기록한 ‘정본 자서전’
김대중은 1924년 남녘의 섬마을에서 태어나 2009년 8월 세계인의 애도 속에 고단한 몸을 누일 때까지, 파란으로 가득 찬 한반도 현대사를 헤쳐 왔다. 일제 강점기에 유년기를 보내고 전쟁의 참화를 거쳐 촉망 받는 청년 실업가로, 30여 년에 걸친 군사 정권의 통치기에는 민주주의의 상징으로, 21세기로 건너오는 길목에서는 겨레의 새 길을 여는 대한민국 15대 대통령으로, 그는 길고도 거대한 생애를 숨 가쁘게 살아 냈다.
이 책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 2009년 서거하기 전, 만 6년 동안 준비해 온 정본 자서전이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2003년 2월 청와대를 떠나 동교동으로 돌아온 후 2004년부터 자서전을 구상해 구술을 시작했고 2년여 동안 총 41회 구술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 자서전은 김대중 대통령의 구술을 바탕으로 생전 기록물들을 참고로 하여 정리됐다. 김대중은 2009년 7월 병원에 입원하기 직전까지 정리된 자서전 원고를 읽으며 직접 고치고 부족한 부분은 추가로 구술해 반영토록 했다. 그리고 이희호 여사가 원고를 최종 검토하고서 편지 형식으로 여는 글을 적었다.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 폰 바이체커 전 독일 대통령이 글을 보내와 앞머리에 실었다.
“나는 마지막까지 역사와 국민을 믿었습니다.”
1권에는 출생에서부터 정치에 입문하기까지, 1954년 민의원에 출마한 후 세 번 연거푸 낙선, 네 번째 당선되었으나 군사 쿠데타를 맞아 의정 활동을 못하게 된 과정, 그리고 1971년 40대 대선 주자로 나서 박정희와 겨룬 일, 그 후 독재 시절을 거치며 수차례 죽을 고비를 넘기고 미국으로 망명하기까지의 상황, 귀국 후 대선 도전에 이어 대통령이 되기까지 과정을 담았다. 섬마을 소년, 청년 실업가, 젊은 정치인, 그리고 사형수에서 대통령이 되기까지의 파란만장한 역정이 담긴 1권에는 1924년 일제 강점기에서부터 1997년 민주화 시대가 열리기까지 70여 년 동안 우리나라 민중이 거쳐 온 굴곡진 삶과 위정자들의 폐단이 고스란히 재현된다. 그리고 옥중에서, 망명지에서, 연금된 자택에서 구상한 여러 정책과 대한민국에 대한 비전을 엿볼 수 있다. 이 시기, 화자인 김대중의 몸과 마음은 민주주의 달성을 위해 항거하는 민중의 곁에 있었고, 그의 시선은 힘 가진 위정자 쪽을 향해 매섭게 벼려져 있었다. 여기서 20세기 한국사의 빛과 어둠, 역사적 ‘사실’로 포장된 허울에 감춰진 ‘진실’의 힘을 발견할 수 있다.
2권에는 대통령 취임 직후부터 퇴임 후 서거 직전까지가 담겨 있다. 대통령 재임기 5년은 김대중에게 대한민국의 민주화와 조국 통일, 민생 해결을 위해 70년 동안 온몸으로 부딪쳐 가며 생각해 낸 이상을 실현하는, 처음이자 마지막 기회였다. 당선되자마자 불어 닥친 국가 부도 위기 극복, 1980년대 옥중에서부터 구상한 대한민국 IT 강국의 실현, ‘햇볕 정책’의 실천으로 남북 간 화해의 장인 6?15 남북 정상 회담 성사, 그리고 이어진 노벨평화상 수상, 2002년 월드컵의 성공적 개최 등 재임기 동안의 이야기는 퇴임한 전직 대통령에게 직접 듣는 최초의 국정 보고이자 ‘성공한 민주주의 정치가’의 전모가 담긴 회고록이다.
퇴임 후 영면에 들기까지 김대중은 전직 대통령으로서 국내외 강연, 연설, 인터뷰를 통해 남북 관계 개선, 동아시아 공동체 형성, 미얀마 등의 민주 회복, 세계 평화 달성에 혼신을 다했다. 2008년 새 정권이 들어선 후, 민주주의 역행 현상을 바라보면서도 끝까지 국민과 역사의 심판을 믿었다. 이 책에는 한평생 민주주의, 정의, 평화, 민족을 위해 살아온 인물 김대중이 ‘존경하고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께 전하는 마지막 당부가 담겨 있다.
김대중 자서전의 주요 줄거리
○ 출생과 유년시절 : 김대중은 1924년 한국의 남동쪽 작은 섬에서 태어났다. 당시 한반도는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상태였다. 초등학교 때 전라남도 목포로 이사한 후 목포상업학교를 졸업했다. 그리고 얼마 후 일본의 패전과 함께 해방을 맞았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해운회사에 취직하여 사업가로서 활동을 하다 한국전쟁을 겪게 되었다. 조국이 남과 북으로 분단되고 부패한 정치현실을 목격한 후 정치를 통해 조국의 민주주의와 통일을 위해 정계에 뛰어들었다.
○ 정치입문과 역경 : 1954년 처음 민의원에 출마한 후 3번 연거푸 낙선하고 4번째 도전에서 당선되었으나 군사쿠데타를 맞아 의정활동을 할 수 없게 되었다. 곧 이은 선거에서 당선된 후 활발한 의정활동을 펼쳤다. 1971년 처음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박정희 대통령과의 대결에서 46%의 득표율을 얻었으나 패하고 만다. 그 후 박정희 정권의 탄압으로 일본, 미국으로 망명생활을 하며 해외에서 민주화운동을 펼쳤다. 1973년 박정희 정권에 의해 일본에서 납치되었으나 살해의 위기에서 극적으로 살아났다. 귀국 후 가쏅연금 상태에서도 지속적인 민주화 운동을 하다 1976년 구속되어 2년 9개월 수감생활을 하였다. 석방된 후 1980년 전두환 신군부에 의해 사형선고를 받았으나 국내외의 구명운동에 힘입어 감형되었고 2년 7개월의 옥고를 치른 후 미국으로 망명하였다. 1985년 귀국한 후 2차례의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1997년 4번째 도전 끝에 대한민국 15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 대통령 김대중 : 김대중의 대통령 당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여야간 평화적 정권교체를 이룩한 의미가 있다. 대통령 취임 후 IMF 외환위기를 맞아 금융·기업·공공·노사 등 4대 개혁을 단행하여 IMF 차입금을 3년 앞당겨 전액 상환하여 외환위기를 극복하였다. 경제위기 속에서도 정보화를 추진하여 한국을 세계 선두의 IT 강국으로 만들었다. 지속적인 ‘햇볕정책’을 펼쳐 남북관계에 큰 성과를 가져왔으며 2000년 6월에는 분단 55년만에 최초로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였다. 2000년에는 남북관계 진전 및 민주주의와 인권신장에 헌신한 공로로 한국인 최초로 ‘노벨평화상’을 수상하였다. 2003년 대통령에 퇴임한 후에도 남북관계 개선, 동아시아 공동체 형성, 세계 평화를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했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 이뤄진 강연, 연설, 인터뷰 등을 통해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고, 전쟁과 갈등 있는 곳에 대화와 협력을 통해 타협할 것을 호소했다. 또 미얀마 등의 민주회복을 위해서도 노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