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YES24 카테고리 리스트

YES24 유틸메뉴

Global YES24안내보기

Global YES24는?

K-POP/K-Drama 관련상품(음반,도서,DVD)을
영문/중문 으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orean wave shopping mall, sell the
K-POP/K-Drama (CD,DVD,Blu-ray,Book) We aceept PayPal/UnionPay/Alipay
and support English/Chinese Language service

English

作为出售正规 K-POP/K-Drama 相关(CD,图书,DVD) 韩流商品的网站, 支持 中文/英文 等海外结账方式

中文

검색


어깨배너

2월 혜택 모음
1/6

빠른분야찾기



신용카드 (54x86mm)
신용카드 (54x86mm)
A4용지 (210x297mm)
A4용지 (210x297mm)
dummy
트렌드 코리아 2021
미리보기 사이즈비교 카드뉴스 공유하기
소득공제 오늘의책

트렌드 코리아 2021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21 전망

김난도, 전미영, 최지혜, 이향은, 이준영 저 외 5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미래의창 | 2020년 10월 14일 리뷰 총점9.2 정보 더 보기/감추기
내용
4.6점
편집/디자인
4.6점
회원리뷰(114건) | 판매지수 678 판매지수란?
상품 가격정보
정가 18,000원
판매가 16,200 (10% 할인)
YES포인트
배송안내
배송안내 바로가기

구매 시 참고사항
구매 시 참고사항

판매중

수량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1/4
광고 AD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20년 10월 14일
쪽수, 무게, 크기 400쪽 | 656g | 153*224*30mm
ISBN13 9788959896837
ISBN10 8959896837

관련분류

이 상품의 태그

  •  검색 페이지에서 선택된 태그에 등록된 더 많은 상품을 확인해 보세요. 전체보기

이 상품의 이벤트 (6개)

이 상품의 특별 구성

카드뉴스로 보는 책

책소개

MD 한마디
한 해가 가고, 새로운 한 해가 오고 있음을 이 책의 출간으로 느끼고 있다. 출간 14년 차를 맞는 「트렌드 코리아」가 올해도 역시 다가올 2021년, 소의 해를 전망한다. 거주 이상의 의미를 갖게 된 집, 홈트 열풍, N차 신상으로 변신한 중고 거래 등 2020년에 이어 2021년까지 우리의 지갑을 열고, 소비시장을 이끌어 갈 트렌드와 상품이 전격 공개된다. -경제경영MD 박정윤
  •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목차

상세 이미지

상세 이미지 1

저자 소개 (10명)

교수, 트렌드 연구자, 컨설턴트, 작가.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생활과학연구소 소비트렌드분석센터를 이끌며 소비트렌드를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교육상, 매일경제신문 정진기언론문화상, 한국소비자학회 최우수논문상, 한국정책학회 학술상, 한국갤럽 최우수논문지도상, 한국마케팅협회 공로상, 한중경영대상 한중경제협력상 등을 수상했다. 코웨이, 아모레퍼시픽, 에버랜드,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교수, 트렌드 연구자, 컨설턴트, 작가.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생활과학연구소 소비트렌드분석센터를 이끌며 소비트렌드를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교육상, 매일경제신문 정진기언론문화상, 한국소비자학회 최우수논문상, 한국정책학회 학술상, 한국갤럽 최우수논문지도상, 한국마케팅협회 공로상, 한중경영대상 한중경제협력상 등을 수상했다. 코웨이, 아모레퍼시픽, 에버랜드,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SK텔레콤, LG전자, CJ그룹, 신한카드, 한국외식산업연구원, 신세계그룹, SK경영경제연구소, 롯데마트, 제일기획, 한라마이스터, AK플라자 등 여러 주요 기업들을 자문하며, 이론적 지식과 실무적 경험의 시너지를 도모하는 데도 힘을 쏟고 있다.

KBS 해피FM에서 「김난도의 트렌드 플러스」라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진행했으며, 한국형 대규모 온라인 공개강좌 K-MOOC에서 ‘소비자와 시장’이라는 강좌를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유튜브 채널 「트렌드코리아TV」를 개설해 트렌드 관련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있다.

12년째 [트렌드 코리아] 시리즈를 매년 집필하며 언택트·뉴트로·세포마켓·필환경·가심비·편리미엄·1코노미 등의 트렌드 신조어를 발표한 바 있다. 그 외에도 『2020 Consumer Trend Insights』(『트렌드 코리아 2020』 영문판), 『트렌드 로드: 뉴욕 임파서블』, 『트렌드 차이나』(공저), 『럭셔리 코리아』 등의 소비·트렌드 관련 경제경영서와 『아프니까 청춘이다』, 『천 번을 흔들려야 어른이 된다』, 『김난도의 내:일』, 『웅크린 시간도 내 삶이니까』 등의 에세이를 출간했다.

Rando Kim is a professor in the Dept. of Consumer Science(DCS), Seoul National University(SNU) and the head of Consumer Trend Center(CTC), SNU. As a specialist in consumer behavior and market trend analysis, he has written more than 20 books including Trend Korea series, Trend China, What Consumers Want , and Luxury Korea. He also wrote essay books, Amor Fati , Future and My Job, and Youth, It’s Painful which is sold three million copies in 14 countries. He has conducted research projects about consumer needs finding, new product planning, and market trend probing for Korea’s major companies like Samsung, LG, SK, CJ, Hyundai Motors, Amore Pacific, Lotte, Fursys, Nongshim, and Coway.
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 다수의 기업들과 소비트렌드 기반의 신제품 개발 및 기업 미래 전략 수립 등을 진행해왔다. 삼성경제연구소 리서치 애널리스트,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연구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LG유플러스 MZ세대 자문단 위원장, 국토교통부 정책홍보 자문위원, 교보문고 북멘토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베스트셀러... 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 다수의 기업들과 소비트렌드 기반의 신제품 개발 및 기업 미래 전략 수립 등을 진행해왔다. 삼성경제연구소 리서치 애널리스트,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연구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LG유플러스 MZ세대 자문단 위원장, 국토교통부 정책홍보 자문위원, 교보문고 북멘토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베스트셀러 『트렌드 코리아』 시리즈(공저)와 『트렌드 차이나』(공저)가 있으며, 그 외 다수의 미디어에 칼럼을 기고했다.

웅진그룹 윤석금 회장과 수차례 대담을 진행하며 급변하는 경영 환경과 새로운 근무 방식의 도래, 일에 대한 개인의 태도 변화, 직장 내 세대 갈등 등 최근 일터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변화를 포착하여 조언을 구했다. 이 책은 두 사람의 대담을 엮은 것으로, 지금 이 시간에도 자신의 업에서 고군분투하는 3040 직장인들을 위한 현실적이고 통찰력 있는 인사이트를 전한다.
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동 대학원에서 〈소비자의 사용하지 않는 제품의 보유 행동 연구〉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트렌드 코리아』(2014~2018) 공저, 기업 강연 및 다수의 소비자 조사, 트렌드 분석,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했으며 소비자의 신제품 수용에 관한 행태, 제품과 사용자간의 관계, 소비자 처분 행동에 관... 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동 대학원에서 〈소비자의 사용하지 않는 제품의 보유 행동 연구〉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트렌드 코리아』(2014~2018) 공저, 기업 강연 및 다수의 소비자 조사, 트렌드 분석,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했으며 소비자의 신제품 수용에 관한 행태, 제품과 사용자간의 관계, 소비자 처분 행동에 관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Jihye Choi, Ph.D. in Consumer Science from DCS, SNU, works as a research fellow at CTC. She has participated in many consulting projects with Korea’s leading companies such as Samsung and LG, and gives public lectures on consumer trends. She currently teaches consumer behavior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t SNU. She contributes many articles and columns to major Korean newspapers and media.
LG전자 상무. 성신여자대학교 서비스·디자인공학과 교수. 영국 센트럴 세인트 마틴Central Saint Martins 석사, 서울대 디자인학 박사. LG전자에서 고객경험CX 혁신과 관련된 서비스디자인 및 상품기획을 담당하며 공간 서비스 디자인, 트렌드, 라이프스타일 등 디자인과 소비문화를 아우르는 통찰력을 발휘하고 있다. 성신여대 서비스·디자인공학과 교수로서 학계와 업계를 오가며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대유... LG전자 상무. 성신여자대학교 서비스·디자인공학과 교수.
영국 센트럴 세인트 마틴Central Saint Martins 석사, 서울대 디자인학 박사.
LG전자에서 고객경험CX 혁신과 관련된 서비스디자인 및 상품기획을 담당하며 공간 서비스 디자인, 트렌드, 라이프스타일 등 디자인과 소비문화를 아우르는 통찰력을 발휘하고 있다. 성신여대 서비스·디자인공학과 교수로서 학계와 업계를 오가며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대유위니아, SK 건설 등 다수의 기업 고객경험 및 상품 기획 프로젝트를 수행했으며, 국내외 CX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지난해 LG전자 생활가전&공조H&A 사업본부 내에 신설된 고객경험혁신담당·상무로 발탁되었다.
세계 3대 디자인 공모전 중 하나인 ‘독일 iF디자인 어워드’의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Q1(상위 25%) SSCI 국제 저명학술지에 연구 논문을 게재하는 등 학자로서의 연구활동도 왕성하다. 2010년부터 〈트렌드 코리아〉 시리즈의 공저자로 집필활동을 하고 있으며, 『디자인 매니페스토』를 저술했다. 과기부·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삼성전자 미래기술 자문교수 등을 역임했다. 《중앙일보》에 ‘이향은의 트렌트터치’를 연재하며 칼럼니스트로도 활동하고 있다.
상명대학교 경제금융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LG전자 LSR연구소에서 근무했으며 현재 상명대학교에서 소비자분석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2017년 한국 소비자학회 최우수논문상,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우수논문상을 수상했으며 2014년 경상북도 도지사 표창을 받았다. 저서로는 《1코노미》, 《케미컬 라이프》, 《소비트렌드의 이해와 분석》이, 공저로 참여한 도서로는 《트렌드... 상명대학교 경제금융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LG전자 LSR연구소에서 근무했으며 현재 상명대학교에서 소비자분석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2017년 한국 소비자학회 최우수논문상,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우수논문상을 수상했으며 2014년 경상북도 도지사 표창을 받았다. 저서로는 《1코노미》, 《케미컬 라이프》, 《소비트렌드의 이해와 분석》이, 공저로 참여한 도서로는 《트렌드 코리아》(2010~2020) 시리즈가 있다.

June Young Lee currently works as an associate professor in Sang-Myung University. He received a doctor’s degree in DCS, SNU. He received ‘The Best Paper Award’ in The Journal of Consumer Studies. He worked as a senior researcher in Life Soft Research lab of LG Electronics. He is a laboratory chief of Consumer Research Center in Sang-Myung University.
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서울대 소비자학 학사·석사·박사. 서울대학교에서 ‘소비문화론’을 강의하고 있으며, 한국FP학회 최우수논문상, 한국소비자학회 Doctorial Dissertation Competition 장려상을 수상했다. SK Planet ‘11번가’ 전략기획실에서 리테일 시장 현황 분석 및 전사 전략 기획 업무를 담당했으며, 글로벌 플랫폼의 전략기획·마케팅·영업지원 등의 리테일 실무를 ... 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서울대 소비자학 학사·석사·박사.
서울대학교에서 ‘소비문화론’을 강의하고 있으며, 한국FP학회 최우수논문상, 한국소비자학회 Doctorial Dissertation Competition 장려상을 수상했다. SK Planet ‘11번가’ 전략기획실에서 리테일 시장 현황 분석 및 전사 전략 기획 업무를 담당했으며, 글로벌 플랫폼의 전략기획·마케팅·영업지원 등의 리테일 실무를 경험했고, 현재 다수의 기업과 소비트렌드 기반 미래 전략 발굴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경제 흐름을 분석했던 실무와 소비사회 종단 연구를 기반으로 소비문화를 거시적으로 조망하며, 글로벌 소비문화를 비교론적 관점으로 분석하는 것에 관심이 많다. 매일경제TV에서 캐스터로 활동한 바 있으며, KBS 1TV [대한민국 길을 묻다], SBS Biz [트렌드 스페셜] 등 다수의 프로그램에 출연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런던 Central Saint Martins에서 텍스타일 디자인 전공으로 학부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화기술대학원에서 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테크놀로지가 바꿔나가는 소비자행동에 관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YouHyun Alex Suh graduated f...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런던 Central Saint Martins에서 텍스타일 디자인 전공으로 학부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화기술대학원에서 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테크놀로지가 바꿔나가는 소비자행동에 관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YouHyun Alex Suh graduated from Central Saint Martins College of Art & Design Textile BA(Hons) in the London, UK. She received an MS degree in Graduate School of Culture Technology,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KAIST), specializing in design management and consumer behavior. She currently is senior researcher at CTC, and a Ph.D. candidate at SNU, specializing in data-driven trend analysis.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동 대학에서 학사를 마치고 〈물질소비와 경험소비에서 SNS 상의 사회적 비교가 소비자행복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현대사회와 변화하는 소비문화, 그리고 이를 포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방법론에 관심이 많다. Jung Yun Kwon is a P...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동 대학에서 학사를 마치고 〈물질소비와 경험소비에서 SNS 상의 사회적 비교가 소비자행복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현대사회와 변화하는 소비문화, 그리고 이를 포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방법론에 관심이 많다.

Jung Yun Kwon is a PhD candidate in DCS, SNU and is currently a senior researcher at CTC. She academically explored the changes in consumers’ lives caused by technological change through her master thesis, “Consumer Happiness and Social Comparisons on SNS in Experiential and Material Purchases.” Her interests includ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its impact on consumer cultures, and various research methodologies to capture them.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에서 학사를 마치고,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에서 〈온라인 의류 구매과정의 소비자감정 변화 연구〉라는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하며 유튜브 채널 ‘트렌드코리아TV’를 총괄·기획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자 조사 및 소비트렌드 분석 프로젝트를 수행하...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에서 학사를 마치고,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에서 〈온라인 의류 구매과정의 소비자감정 변화 연구〉라는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하며 유튜브 채널 ‘트렌드코리아TV’를 총괄·기획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자 조사 및 소비트렌드 분석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한 소비자 심리 탐구에 관심이 많다.

Dahye Han received a BA in the Department of Psychology, SNU and an M.A. degree in DCS, SNU. Currently, she is in the Ph.D. course work in SNU and works as a researcher in CTC. With her masters thesis, “A Study on Consumer Emotion Changes in Online Clothing Purchasing Process,” her research interests focus on consumer behavior, trend analysis, and consumption psychology.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소비트렌드분석센터(CTC, Consumer Trend Center)는 1997년부터 소비자행태·소비문화·소비사회 등을 주제로 연구해온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김난도 교수의 <소비자행태연구실> 트렌드연구팀을 모태로, 2004년 동 연구소 중점사업부의 하나로 설립된 트렌드 분석·예측 기관이다. 다양한 기업과의 협력 연구를 통해 해당 업계의 소비자와 시장 트렌드를 파악하고 그에 부응하는 신...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소비트렌드분석센터(CTC, Consumer Trend Center)는 1997년부터 소비자행태·소비문화·소비사회 등을 주제로 연구해온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김난도 교수의 <소비자행태연구실> 트렌드연구팀을 모태로, 2004년 동 연구소 중점사업부의 하나로 설립된 트렌드 분석·예측 기관이다.

다양한 기업과의 협력 연구를 통해 해당 업계의 소비자와 시장 트렌드를 파악하고 그에 부응하는 신제품을 개발하는 학습형 컨설팅(Tutorial Consulting)을 주로 수행하고 있다. 학습형 컨설팅이란 연구의 결과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해당 업무 실무 담당자들과의 공동 작업 및 튜터링 워크숍을 통해 트렌드를 추적·분석하는 방법론과 신제품 개발 역량을 교육하는, 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분석센터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새로운 ‘학습형’ 프로젝트 진행 방법론이다. 이 학습형 컨설팅 방법론을 통해 전자·자동차·뷰티·레저·유통·식품 등 다양한 산업군의 기업체들과 다양한 주제로 산학협동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만든 이 코멘트

저자, 역자, 편집자를 위한 공간입니다. 독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씀을 남겨주세요. 코멘트 쓰기
접수된 글은 확인을 거쳐 이 곳에 게재됩니다.
독자 분들의 리뷰는 리뷰 쓰기를, 책에 대한 문의는 1:1 문의를 이용해 주세요.

책 속으로

--- p.347, 「CX 유니버스」 중에서

출판사 리뷰

코로나가 앞당긴 미래, 더욱 빨라진 변화의 속도
바이러스發 경제, V-nomics(브이노믹스) 시대의 전략을 말하다


‘집콕’이 일상어로 자리 잡고 비대면은 이제 누구에게나 익숙하며 마스크를 쓰지 않는 것이 더 어색한 세상이 되었다. 코로나가 일상이 되면서 사람들은 서서히 21세기 팬데믹에 적응해가는 중이다. 무슨 일이 벌어져도 삶은 계속되고 소비는 이루어진다. 코로나가 순식간에 큰 변화를 몰고 온 것 같아도 지금의 변화는 이전부터 서서히 진행되어왔던 것이다. 언택트, 집 중심의 라이프스타일, 온라인 쇼핑의 증가는 이미 저변이 확대되고 있었으나 이번 사태로 그 확산 속도가 더욱 빨라졌을 뿐이다.

〈트렌드 코리아 21〉은 팬데믹 속에서도 평정심을 유지하자는 뜻, 백신의 기원이 된 소의 해, 현실을 직시하되 희망을 잃지 말자는 의미에서 COWBOY HERO를 2021의 10대 트렌드 키워드로 선정했다. 날뛰는 소를 마침내 길들이는 멋진 카우보이처럼, 시의적절한 전략으로 팬데믹의 위기를 헤쳐나가기를 기원하는 뜻을 담았다.

이번 10가지 트렌드의 전반적인 흐름을 설명할 때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부분은 모든 트렌드가 코로나 사태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이다. 트렌드는 사회의 반영이기에 매우 당연한 일이다. 본서의 첫 키워드인 브이노믹스V-nomics는 바이러스virus의 V에서 출발한 단어로 “바이러스가 바꿔놓은, 그리고 바꾸게 될 경제”라는 의미다. 과연 V자 회복은 가능할까? 기존의 가치Value는 어떻게 변할까? 언택트 트렌드의 진화는 어디까지인가? 새로운 브이노믹스 패러다임에 얼마나 잘 적응하느냐가 장기화될 코로나 시대를 이겨내는 전략을 제공할 것이다. 국내 경기는 전반적으로 K자형 양극화를 그릴 것으로 예상되지만, 업종별로는 V, U, W, S, 역V 등 다양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나누는 기준은 대면성의 정도, 대체재의 존재 여부, 기존 트렌드와 얼마나 부합하느냐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코로나 특수형인 국내여행과 화상 커뮤니케이션, 홈웨어 시장은 역V자형으로 분류된 반면, 비대면 성향이 높고 기존 트렌드와 부합하는 온라인쇼핑과 캠핑, 호캉스, 애슬레저룩 등은 코로나 이후에도 더욱 성장이 가속화되는 S자형으로 분류됐다.

이른바 VUCA(변동성Volatility, 불확실성Uncertainty, 복잡성Complexity, 모호성Ambiguity)로 대변되는 작금의 상황은 기업과 개인 모두에게 신속한 상황 파악과 이에 따른 빠른 적응을 요구한다. 쉬운 일은 아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유연한 사고가 필요하고 과감한 방향 선회 그리고 실패를 용인하는 관용적인 태도 또한 중요하다. 장기간의 공들인 전략과 마케팅보다는 우선 뭐라도 해보는 자세가 더 중요하다. 즉, “Done is better than perfect(완벽함을 추구하기보다 먼저 실행하라).” 정신이 절실한 시점이다. ‘빠른 생애사 전략’을 기본으로 한 ‘피보팅’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2021 트렌드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MZ세대의 두드러진 약진이다. ‘소비의 롤러코스터를 탄 자본주의 키즈’로 대변되는 이들 MZ세대는 돈과 소비에 편견이 없는 새로운 소비세대로 유행을 선도하고 비즈니스의 방향을 주도하며 브랜드의 흥망을 결정한다. 이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기 위한 ‘레이블링 게임’에 몰두하고 신상보다 중고마켓을 더 애용한다. 취향 공유와 신종 재테크가 합쳐진 새로운 중고마켓이 뜨는 배경이다. 이밖에, 코로나 시대 집의 진화(레이어드 홈), 일상으로 들어온 운동(#오하운, 오늘하루운동), 고객만족 경험의 극대화(CX 유니버스), 기술로 대체할 수 없는 인간의 손길(휴먼 터치)이 2021 눈여겨봐야 할 트렌드로 꼽혔다.

COWBOY HERO

Coming of ‘V-nomics’ | 브이노믹스
코로나 바이러스가 초래한 경제와 소비의 변화는 무엇이며,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 것인가? 양적인 축소는 불가피하다. 경제 규모가 종전의 90% 미만으로 수축되는 이른바 ‘90% 경제’가 지속되며 파장이 커지고 있다. 질병 확산이 완화되면 '보복소비'가 그동안의 침체를 벗어날 자극이 돼줄 것으로 기대하지만, ‘보복저축’ 역시 빠르게 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 세계적으로 장기화하면서 소비 패턴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가운데, 산업별로 명암이 교차하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찾기 위한 전환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미시적으로는 이른 바 언택트 트렌드가 새로운 전개를 보이는 가운데, 아날로그와 본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진다. 이 모든 변화가 바이러스로 인한 새로운 경제, 즉 바이러스의 V가 몰고 온, 브이노믹스(V-nomics)다.

Omni-layered Homes | 레이어드 홈
코로나 이후 가장 큰 변화를 겪게 된 공간은 역시 ‘집’이다. 더욱 가속화하는 집의 변화를 요약하면 공간과 기능이 여러 개의 층위로 분화한다는 점이다. 마치 이미지 프로그램 포토샵의 레이어처럼 분화하며 중첩되는 ‘레이어드 홈(layered home)’ 현상이다. 삶의 근거지로서의 기본 기능이 확장하는 측면을 ‘레이어1’이라고 한다면, 직장·학교 등 외부 활동이 집에서 이뤄지면서 생기는 변화는 ‘레이어2’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직주근접·직주일치 현상의 강화로 집 근처에서 삶을 영위하는 이른바 ‘슬세권 경제’의 확산은 ‘레이어3’이다. 레이어드 홈 트렌드는 2021년의 대한민국을 넘어 미래주택 공간의 패러다임이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다. 이렇듯 변화하는 공간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의 사고방식 역시 점차 변할 것이다. 미래 소비산업 변화의 요람은 단언컨대 집이 될 것이다.

We Are the Money-friendly Generation | 자본주의 키즈
돈과 소비에 편견이 없는 새로운 소비자들이 약진하고 있다. 어릴 때부터 광고·투자·재무관리 등 자본주의적 요소 속에서 익숙하게 입고 먹고 보고 배우고 자란, 그래서 자본주의 생리를 잘 이해하는 세대가 소비의 주체가 되었다. 이들은 자신의 욕망에 솔직해 소비로부터 행복을 구하는 데 주저함이 없고, 광고를 ‘이용’할 줄 알고 PPL에 관대하며, 재무관리와 투자에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공산주의의 몰락을 경험한 기존 세대와 달리, 이들은 지극히 자본주의적이면서 동시에 반(反)자본주의에 대한 선망을 품고 있는 세대이기도 하다. 무작정 물질주의적이거나 충동적이지 않다. “행복은 충동적이지만, 걱정은 계획적으로” 할 줄 아는 이들은 새로운 경제관념으로 무장한 채, 브이노믹스와 그 이후를 이끌게 될 것이다.

Best We Pivot | 거침없이 피보팅
피보팅(pivoting)이란 축을 옮긴다는 스포츠 용어지만, 최근 들어서는 사업 전환을 일컫는 경제용어로 더 자주 쓰인다. 바이러스나 트렌드 변화로 인해 소비시장이 급격히 변화할 때, 기민한 비즈니스 모델의 변환은 조직의 생사를 좌우하는 중요한 전략이다. 하지만 이제 피보팅은 단지 위기상황 하에서의 방향 수정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조직 운영 전반의 중요한 트렌드로 확장하고 있다. 다시 말해 제품·전략·마케팅 등 경영의 모든 국면에서 다양한 가설을 세우고 끊임없이 테스트하면서, 그 방향성을 상시적으로 수정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하게 된 것이다. 피보팅은 새로운 아이템과 기술로 사업을 시작하는 스타트업에게 필수적인 덕목이지만, VUCA(Volatility, Uncertainty, Complexity, Ambiguity)로 특징되는 현대 비즈니스 환경에서 대기업에게도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됐다.

On This Rollercoaster Life | 롤코라이프
롤러코스터는 우르르 몰려가 함께 탄다. 짜릿한 궤도의 오르내림을 즐긴다. 아쉽지만 금방 끝이 난다. 내린 사람들은 다시 새로운 놀거리를 찾아 빠르게 이동한다. 이러한 롤러코스터의 특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소비트렌드가 전개되고 있다. 더 재미있는 밈(meme)을 좇아 우르르 몰려다니는 대중들은 단기간의 트렌드를 따라가며 오르락내리락 짜릿한 진폭의 재미를 즐긴다. 그러다가도 금방 끝을 보고 다음 재미를 향해 몰려가는 현상이 늘고 있다. 이런 트렌드를 롤러코스터를 닮았다는 의미에서 ‘롤코라이프’라 명명하고 이런 라이프스타일을 즐기는 이들을 ‘롤코족’이라고 부르고자 한다. 롤코라이프는 소수 젊은이들의 변덕이 아니라, 상시 대응해야 할 시장의 일반적 변화가 되고 있다. 이제 제품과 마케팅에도 진솔하고 발 빠른 대응으로 고객의 변화에 맞춰나갈 수 있는 '빠른 생애사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Your Daily Sporty Life | #오하운, 오늘하루운동
운동이 붐이다. 등산로에는 레깅스로 차려입은 남녀노소의 발길로 줄이 이어지고, 소수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골프와 서핑이 대중 스포츠가 되고 있다. 트레일 러닝·크린 세션·고스트 크루·플로팅 요가처럼 기존의 운동이 새롭게 변주된다. 이러한 트렌드가 단순히 스포츠 활동 자체로 끝나지 않고, 패션?인증샷?챌린지 등을 즐기면서 사회에 대한 선한 영향력, 자신의 성장, 타인과의 느슨한 관계 확장도 놓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운동 열풍은 단지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건강 증진과 면역 강화에 관심이 커진 이유뿐만 아니라, 건강에 방심하지 않는 MZ세대의 세대적 특성, 정체의 시대에 운동으로 성취감을 찾으려는 경향, 관련 기기 및 플랫폼 시장의 성장 등 복합적인 원인이 불러일으킨 트렌드다. 운동이 일상의 영역으로 확장되면서 브랜드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전반을 설계하는 액티비티 디자이너로서의 역할이 강화될 것이다.

Heading to the Resell Market | N차 신상
“당근하다”가 하나의 동사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방탄의 멤버, RM에게 중고바지를 팔았다는 사연이 한때 SNS를 도배했다. 이제 중고마켓은 그냥 쓰던 물건을 사고파는 장터가 아니라 MZ세대의 놀이터가 되어가고 있다. 취향의 공유는 물론이고 새로운 재테크 수단까지. 중고마켓이 뜨는 이유다. 이른바 리셀(resell)은 단지 기존 ‘중고제품 거래’의 맥락을 넘어선다. 최근의 명품 열풍과 래플·드롭과 같은 한정판 마케팅 등 새로운 구매 행태를 설명하는 열쇠말이다. 소비자들은 이제 자신의 소유물을 단지 상품이 아니라 하나의 자산, 나아가서는 더 높은 가격으로 되팔 수 있는 투자로 재인식하며, 구매의 새로운 동기로 삼는다. 다시 말해 사용하던 상품은 이제 중고가 아니라 N번째 새 제품, 즉 ‘N차 신상’이 되는 것이다. 리셀은 옴니채널-세포마켓의 계보를 잇는 거래와 유통의 새로운 한 축으로 발전해나갈 것이다.

Everyone Matters in the ‘CX Universe’ | CX 유니버스
고객이 접하는 상품과 브랜드의 수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넘쳐나는 소비자 정보 속에서 고객충성도는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편의성에 최적화된 소비자들을 위해 브랜드를 관리하고 디지털 전환(DT, Digital Transformation)을 이룩하려면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 바로 ‘고객경험의 총체적 관리’다. 고객경험을 CX(Customer eXperience)라고 하는데, 이 CX가 단편적인 접점 관리에 그치지 않고 마치 마블 유니버스처럼 특정 브랜드의 세계관을 함께 공유할 때, 이를 ‘CX 유니버스’라고 부를 수 있다. ‘마블 유니버스’처럼 팬덤을 만들고, 충성도 높은 고객들이 브랜드와 함께 세계관을 확장해나가게 하고 싶다면, 2021년을 CX 고객경험 혁신의 원년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Real Me’: Searching for My Real Label | 레이블링 게임
나를 꽃으로 표현한다면 무슨 꽃일까? 혹은 음식이라면, 브랜드라면? 최근 각종 성향 테스트가 인기다. MBTI, 꼰대레벨, 대학교 학과 테스트 등 급격히 유행하는 각종 테스트는 다원화한 현대사회에서 ‘찐(진짜)’ 자아를 찾으려는 현대인의 갈구다. 현대인의 자아 찾기는 단지 철학의 문제만은 아니다. 소비사회를 사는 소비자들에게 자아란 소비 행태를 결정하는 가장 근원적인 문제다. 과거에는 자신을 표현하기 위해 자기정체성에 맞는 브랜드를 선택했다면, 이제는 “이런 브랜드를 구매하는 걸 보니 나는 이런 사람”이라는 역의 인과관계가 성립한다. 비정형화되는 사회적 가치 속에서 소비자의 준거집단이 다양해지면서, ‘진짜 나’를 찾으려는 현대인의 고민이 깊다.

‘Ontact’, ‘Untact’ with a Human Touch | 휴먼터치
코로나 이후 가장 조명받은 트렌드는 ‘언택트(untact)’다. 사람끼리 접촉하지 않는다는 의미의 언택트를 넘어, 이제 모든 것이 온라인에서 이루어진다는 의미의 온택트(ontact)라는 용어도 등장하고 있다. 물론 언택트·온택트화하는 소비도 많아지고 있지만 그것이 전부일까? 어쩌면 그럴수록 사람의 온기가 더욱 그리워지는 것은 아닐까? 휴먼터치란 어떻게 하면 조직관리와 경영의 많은 국면에서 최대한 사람의 숨결과 감성을 불어넣을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트렌드다. 상품개발·마케팅·서비스·영업·고객관리 전반에서 인간적 요소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휴먼스케일과 스토리를 가지 상품개발, 고객과의 직접 소통을 추구하는 마케팅, “너는 충분히 잘하고 있다”는 가슴 뭉클한 메시지를 통한 고객관리 등은 휴먼터치의 주요 방법이다. 디지털 셀링에서 소셜 셀링으로 이행하는 이 시점에서 휴먼터치는 ‘진실의 순간(MOT)’을 만드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 될 것이다.

『트렌드 코리아』 선정, 2020년 10대 트렌드 상품 (숫자-한글-영문 순)

1990년대
● 한국의 문화적 르네상스 시기였던 1990년대의 음악과 패션이 인기
● 젊은 세대에게는 새롭고, 기성세대에게는 향수를 자극하는 문화
관련키워드 : 〈2019〉 요즘옛날, 뉴트로

국내여행
● 해외여행을 대신한 국내여행 열풍
● 자동차를 활용한 차박, 잘 알려지지 않은 여행지 발굴 등 새로운 여행 트렌드 부상
관련키워드 : 〈2018〉 소확행, 작지만 확실한 행복

기생충
● 한국 역사상 최초 아카데미상 수상으로 한국 영화의 자부심 고취
● 가진 자와 못 가진 자의 양극화 문제에 대한 전 세계적 공감
관련키워드 : 〈2020〉 멀티 페르소나

무선 이어폰
● 현대인들의 사회심리적 보호막 역할
● 스마트폰 관련 주변기기 시장의 성장
● 노이즈 캔슬링, 방수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며 진화
관련키워드 : 〈2018〉 나만의 케렌시아, 〈2019〉 그곳만이 내 세상, 나나랜드

배달 서비스
●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배달 서비스 활성화
● 기존 배달 음식 이외에도 커피, 디저트 등 배달 품목의 다양화
● 특화된 배달 애플리케이션의 등장
관련키워드 : 〈2020〉 라스트핏 이코노미, 〈2020〉 편리미엄

지역화폐
● 지역 상권 침체에 대처하는 지방자치자체의 전략
● 어려운 경기 속 할인 혜택으로 큰 인기
● 슬세권 소비트렌드와 지역 상권 활성화의 시너지 효과
관련키워드 : 〈2020〉 라스트핏 이코노미

트로트
● 전 국민에게 사랑받는 음악 장르로 도약
● 음악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예능?광고계까지 장악한 트로트 스타
● 중·장년층의 적극적인 문화 활동
관련키워드 : 〈2020〉 오팔세대, 〈2020〉 팬슈머

화상 커뮤니케이션
●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화상업무 및 화상교육 일상화
● 점차 모호해지고 있는 대면과 비대면의 경계
관련키워드 : 〈2018〉 언택트 기술, 〈2018〉 ‘워라밸’ 세대

KF마스크
●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KF마스크 품귀현상
● 생활 방역의 중요성 증가
관련키워드 : 〈2017〉 각자도생의 시대

OTT 서비스
● 콘텐츠 소비방식의 변화
● 코로나19로 인한 실내 활동 지속으로 급격한 성장세
● 다양한 OTT 서비스 플랫폼 출범
관련키워드 : 〈2020〉 스트리밍 라이프, 〈2020〉 초개인화 기술

올해의 책 추천평 (39개)

매년 진행되는 올해의 책 선정 행사에서 고객님들이 직접 작성해주신 추천평입니다.
2021
대한민국의 트렌드를 한 눈에 알기 쉽게 정리해준 책 읽으면서 공감도 많이 되고, 미래에 대한 생각도 하게 됐다 2022도 기대중
sky***** | 2021.11.03
2021
코로나 시대 상황에 맞는 트렌드에 맞춰 집필되어 앞으로의 미래를 전망하기에 좋은 책이었습니다. 트렌드코리아 2022도 기대됩니다.
add***** | 2021.11.03
2021
연초마다 꼭 보고 있어요 필수에요
oha***** | 2021.11.02
2021
대한민국 트렌드 분석의 원조
tri***** | 2021.11.02
2021
다양한 분야를 포괄해서 좋아요
lli***** | 2021.11.01
2021
매년흐름을알수있게해준책
suk***** | 2021.11.01
2021
트렌드를 알고 싶다면 매년 구비해야하는 책.
del***** | 2021.11.01
2021
미래를 알 수 있었던 책
jae***** | 2021.11.01

회원리뷰 (114건)

매주 10건의 우수리뷰를 선정하여 YES포인트 3만원을 드립니다.
3,000원 이상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일반회원 300원, 마니아회원 600원의 YES포인트를 드립니다.
(CD/LP, DVD/Blu-ray, 패션 및 판매금지 상품, 예스24 앱스토어 상품 제외) 리뷰/한줄평 정책 자세히 보기
리뷰쓰기

109명의 YES24 회원이 평가한 평균별점

리뷰 총점9.2/ 10.0
내용 내용 점수 편집/디자인 편집/디자인 점수 정보 더 보기/감추기 내용
68% (78건)
5점
24% (27건)
4점
7% (8건)
3점
1% (1건)
2점
0% (0건)
1점
편집/디자인
69% (79건)
5점
21% (24건)
4점
9% (10건)
3점
0% (0건)
2점
1% (1건)
1점
연령대별 평균 점수는?
  • 10대 0.0
  • 20대 8.0
  • 30대 9.0
  • 40대 9.0
  • 50대 10.0
YES24에서 우수작으로 선정한 리뷰가 (1건) 있습니다.
주간우수작 트렌드 코리아 2021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 | YES마니아 : 골드 스타블로거 : 블루스타 삶**소 | 2020-11-06


코로나 사태로 바뀌는 것은 트렌드의 방향이 아니라 속도다.”

이 책에서는 코로나 19와 관련된 소비트렌드의 변화는 바로 이것이라고 말한다. 2020년 한 해는 코로나 19로 인해 너무 큰 변화를 겪으며 혁신적인 생각과 성실히 준비된  자들만이 변화에 흔들림이 없이 적응해 나갈 수 있었다. 서점가에 코로나로 인한 펜더믹 사태를 어떻게 이겨나가야 할지에 대한 분석과 대응에 관련 책들이 앞다투어 자리잡았다. 나 또한 이런 갑작스런 변화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적응을 해야할지가 큰 과제가 되었고 그 와 관련된 여러 책들을 접하기도 했다. 트렌드 코리아는 워낙 인지도가 높은 책이었지만 나 같은 경우 작년에 처음 2020 예측으로 접한 책이었고 사실 그 당시 생소한 용어들에 놀라기도 했고 내가 너무 시대에 뒤처지는 게 아닌가 걱정이 되기도 했지만 책 한 권으로 변화되고 눈여겨 보아야 할 많은 정보를 얻어서 매우 만족했던 책이기도 했다. 2019를 마무리하며 기억에 남았던 책이기에 올해도 이 책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가지고 만나볼 수 있었다.

 

2021년은 신축년 소띠해로 트렌드 코리아 2021의 부재는 COWBOY HERO로 정했다고 한다. 날뛰는 야생의 소를 능숙하게 길들여내는 카우보이들처럼, 광우처럼 날뛰는 코로나 바이러스를 잡아내면 좋겠다는 소망을 담았다. 히어로는 올 한 해 덕분에챌린지에서 감사의 뜻을 표했듯, 이 사태를 헤쳐나가는 데 헌신적인 희생을 보여준 의료진과 시민들 같은 영웅들을 지칭한다.

1부에서는 2020년 소비트렌드 10대 워드였던 멀티 페르소나, 라스트핏 이코노미, 페어 플레이어, 스트리밍 라이프, 초개인화 기술, 팬슈머, 특화생존, 오팔세대, 편리미엄, 업글 인간에 대해 되돌아보며 변화들이 어떠했는지에 대한 분석들이 되어있다. 예상치 못했던 코로나로 인한 팬더믹 사태가 있었지만 크게 어긋나지 않았던 202년 소비트렌드 키워들이었다. 2부에서는 2021년의 소비트렌드 전망을 다룬다.

 

2021년 소비트렌드 전망

 

1. 브이노믹스

바이러스가 바꿔놓은 그리고 바꾸게 될 경제

브이노믹스에 대한 4가지 질문

1) 경기의 반등, ‘V’자 회복은 가능할 것인가?

=> 향후 경기회복의 양상은 전반적으로 K자형 양극화(상향 회복과 하향 침체가 공존하는 양극화 현상)를 보이겠지만 업종별로 V(빠른 회복), U(상당 기간 침체 후 회복), W(등락을 반복), S(상승세에서 더 가속화), V(일시적 특수) 등 다양한 모습을 보일 것이다. 이런 유형화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대면성이 비율, 대체의 존재 여부, 기존에 진행되던 트렌드와 얼마나 부합하느냐이다.

P. 150



2) 코로나로 가속화된 언택트트렌드는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 ‘언택트트랜드는 대면·비대면·혼합의 황금비율을 찾아갈 것인데 조직 관리에서는 성과 위주의 KPI(특정 업무를 평가할 때 가장 중요하게 측정하는 지표)’, 교육에서는 블렌디드·플립 러닝’, 유통에서는 고객경험극대화가 핵심 요소로 떠오를 것이다.

3) 코로나 사태로 소비자들이 가치는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 소비자들의 가치는 안정적인 브랜드와 상생을 위해 노력하는 기업으로 옮겨가고 친환경과 본질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질적 변화를 보일 것이다.

4)브이노믹스 시대를 헤쳐나가기 귀해 우리에겐 어떤 비젼이 필요한가?

=> 심해져가는 코로나 양극화에 대처하기 위해서 공동체 의식의 회복, 정부 역할의 균형 회복, 각 조직의 변화대응역량이 중요하다. 소비자·정부·기업이 어떻게 역할을 분담하며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을까에 대한 성찰이 절실하다. 분명한 비전과 용기 있는 트렌드 대응 능력이 절실하다.

 

 

2. 레이어드 홈

집의 기능이 다층적으로 형성된다

최근에 보여지는 집의 층위

1) 기본 레이어 : 기존에도 수행해왔던 기능을 심화하는 층.

위생가전, 가구, 인테리어 산업의 발전을 가져오고 호텔 아이템이나 로봇 등을 활용해 프리미엄화 하고 있다.

2) 응용 레이어 : 그동안 집에서는 별로 하지 않던 일을 집에서 해결하는 층

학습, 근무, 쇼핑, 취미, 관람, 운동 등의 전에 없던 활동을 수행하면서 다기능화되는 집이 보습을 보여준다.

3) 확장 레이어 : 집의 기능이 집안에서만 이뤄지지 않고 집 근처, 인근 동네로 확장되며 상호작용하는 현상

슬리퍼를 신고 다닐 수 있는 집 근처, ‘슬세권으로 경제활동의 영역이 넓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전망 : 미래 소비 산업의 변화의 요람은 단언컨대 집이 될 것이다.

 

3. 자본주의 키즈

자본주의 속에서 입고 먹고 배우고 놀며 자랐기에 자본주의 생기를 누구보다 잘 알고, 이에 최적화된 경제활동을 영위하는 요즘 소비자들

1) 시장의 이윤 논리를 정확히 이해하는 자본주의 키즈들은 광고에 관대하며 이를 이용할 줄 안다. PPL 혹은 앞광고는 그냥 넘어가지만 협찬을 숨기는 뒷광고에 격렬히 분노한다. 소비자가 광고를 수용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주체성을 훼손했기 때문이다.

2) 자신의 욕망에 솔직하여 소비를 통해 행복을 구하는데 주저함이 없지만 구매 과정에 많은 공을 들이며 돈을 허투루 쓰지 않는다. 고액의 물건을 구매하더라도 여러 경로를 찾아 최저가로 구매하는 등 나름 합리적인 소비를 한다.

3) 투자에 관해 매우 적극적이다. 부동산 투자강의를 함께 듣고 임장(부동산 현장 답사) 데이트를 즐기고, 대학생·군인 등도 투자 대열에 합류한다.

시사점 : 자본주의 키즈는 돈 밝히면 못쓴다는 옛말이 됐고, 이제 돈에 밝지 않으면 정말 못쓰게된다는 말이 생활신조가 되고 있다.

 

4. 거침없이 피보팅

제품·전략·마케팅 등 경영의 모든 국면에서 다양한 가설을 세우고 끊임없이 테스트하면서, 그 방향성을 상시적으로 수정해나가는 일련의 과정

피보팅에서는 얼마나 바꾸느냐보다는 무엇을 축으로 의지해 바꾸느냐가 중요한 과제이며 피보팅의 유형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핵심역략 피보팅 : 기술이나 운영 노하우 등 회사가보유한 역락을 중심으로 사업모델을 전환하는 전략

2) 하드웨어 피보팅 : 시설 설비·공간·건물 등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환하는 전략

3) 타깃 피보팅 : 기업이 그동안의 사업을 통해 이미 잘 알고 있는 소비자 집단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환하는 전략

4) 세일즈 피보팅 : 새로운 품목을 기획하고 판매하는 경로를 변경해 사업 전환의 기획를 모색하는 전략

전망 : 위기는 부실한 기업을 솎아내는 자본주의의 정리 메커니즘이다. 코로나 19 위기와 디지털 대변혁을 넘어 새로운 시대로의 도약을 앞둔 지금, ‘거침없이 피보팅하는 기업만이 살아남는다.

 

5. 롤코라이프

롤러코스터를 타듯 자신의 삶을 즐기는 Z세대의 라이프스타일

1) 줄서기 : 젊은 소비자들은 유행하는 이벤트나 챌린지에 자발적으로 합류하며 강렬한 재미를 느끼며 동질감과 소속감을 느낀다.

2) 타기 : 롤러코스터의 예측할 수 없는 속도감을 즐기듯 상식적인 예측의 범위를 넘어서는 짧은 변주와 이색적인 협주를 찾으며 새로은 브랜드와 상품을 다양하게 소비하며 호기심을 충족기키려 한다.

3) 내리기 : 하나의 유행이 끝나면 뒤돌아보지 않고 하차한 후 다음 유행으로 서둘러 갈아탄다.

전망 : 기업은 고객의 변화에 맞춰나갈 수 있는 빠른 생애사 전략을 바탕으로, 오랜 기간 공들여 준비한 100% 완벽한 마켓팅보다는 미완성일지라도 끊임없이 치고 빠지는 숏케팅이 필요해졌다.


6. #오하운, 오늘하루운동

운동이 일상이고 일상이 곧 운동인 생활밀착형 운동의 시대, 운동이 라이프스타일의 중심이라고 말하는 신인류들은 일상에서 나를 드러내는 수단의 하나로써 운동을 활용하고, 극한의 다이어트보다는 건강한 자신을 응원하기 위해 운동을 한다. 더 나아가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퍼뜨리면서 운동하고, 타인과 관계를 맺을 때도 운동이 빠지지 않는다.

요즘 운동의 특징

1) 다양한 종목을 다양한 방식으로 즐긴다.

2) 운동을 하는 행위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운동을 즐기는 과정에서 나를 표현하고 나의 신념을 드러내는 자아 확장이다.

3) 타인과 함께 스포츠를 즐기며 관계를 확장하면서도 관계 자체에는 연연하지 않는 쿨한 사이를 추구한다.

전망 : 운동이 일상의 영역으로 확장되면서 브랜드는 소비자의 여가를 지원하는 내비게이터이자 라이프스타일 전반을 설계하는 라이프 액티비티 디자이너로서의 역학을 요구받게 될 것이다.

 

7. N차 시상

여러차례(N) 거래되더라도 신상과 다름 없이 받아들여지는 트랜드를 표현한 것

1) N차 신상은 새로운 재테크 수단으로 주목 받고 있다.

안 쓰는 물건을 팔아 현금화하거나 재능을 거래해서 용돈을 버는 식인데, 특히 명품이나 한정판 운동화에 프리미엄을 붙여 파는 리셀MZ세대의 새로운 투자 방법으로 떠올랐다.

2) N차 신상의 거래 플랫폼은 소비자의 놀이터다.

마켓팅놀이, 댓글놀이는 물론이고 보물찾기의 매력에 빠진 소비자들이 N차 신상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3) 중고마켓은 사람과 사람을 잇는 공동체로도 시증을 한다.

지역을 기반으로 뭉치고 취미로 엮이면서 중고시장이 생활 플랫폼으로 진화하는 중이다.

전망 : 중고시장에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을 접목하여 서비스 차별화를 시도하는 사례가 많아지는 동시에, 단지 중고 거래 플랫폼의 기능을 넘어 커뮤니티로서의 역할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들에게는 중고마켓에 열광하는 소비자의 감성을 끌어안는, 보다 유연한 시도가 필요하다.

 

8. CX 유니버스

특정 브랜드나 기업이 총체적인 고객 경험(CX custumer experience) 관리를 통해

호의적인 태도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해나가는 일련의 노력

CX 유니버스를 구축의 목표

1) 물 흐르듯 매끈한 심리스 경험을 제공

2) 고객의 자발적 데이터 제공 경험을 유도

3) 색다르고 흥미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것

전망 : 충성 고객이 사라진 시대, CX 사이클은 고객충성이라는 황금알을 낳을 수 있는 거위다. 마블 유니버스처럼 팬덤을 만들고 고객이 브랜드와 함께 자신이 원하는 세계를 확장해나가는 즐거움을 누리게 하고 싶다면, 2021년을 CX 고객경험 혁신의 원년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9. 레이블링 게임(Labeling Game)

자기 정체성을 특정화된 유형으로 딱지(레이블)를 붙인 뒤, 해당 유형의 라이프 스타일을 동조, 추종함으로써 정체성의 불확실성을 해소하려는 게임화된 노력

 

레이블링 게임은 현실의 자아를 확인해줄 뿐 아니라 타인과의 공유와 비교를 통해 자기 정체성 찾기놀이로 진화하기도 한다. 나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일상에서 소비의 즐거움으로 치환되는 것이다. 소비 사회를 사는 현대인에게 자아란 단지 철학적 영역에 머무르지 않는다. 이제 소비자들은 각종 테스트를 통해 자기정체성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자기 유형에 맞춘 고비를 하게 되었다. 과거에는 자신을 표현하기 위해 자기 정체서에 맞는 브랜드를 선택했다면, 이제는 이런 브랜드를 구매하는 걸 보니 나는 이런 사람이라는 역의 인과관계가 성립하는 것이다.

전망 : 소비자와 쌍방향으로 소통하며 자발적인 정체성의 동일시를 이룰 수 있을 때, 새로운 트렌드를 이끄는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10. 휴먼터치

언택트 기술이 지향해야 할 점은 인간적 접촉을 보완해주는 역할이어야 한다.

휴먼터치의 실현 방법

1) 고객 중심의 공간과 동선 꾸미기

2) 인간적 소통의 강화

3) 기술에 사람의 숨결 불어넣기

4) 내부 조직 구성원들의 마음 챙김이 중요

시사점 : 휴먼터치가 의미하는 바는 인간적인 손길을 기술로 만들거나 기술을 최대한 인간적으로 만들겠다는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인간의 손길은 여전히 필요하다는 점이다. 소비자의 마음에 다가가는 진정성을 가진 조직이라면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기본 중의 기본이다.

 

불가항력의 역병이 창궐하고, 첨단 기술은 빛의 속도로 앞서나가며, 트렌드는 숨가쁘게 바뀌는 시대에 살아남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그리고 마지막 키워드는 바로 진심이 담긴 인간의 손길이다.

 

 

 

트렌드 코리아 2020년을 읽었던 경험이 있어서 이번 2021의 키워드가 그렇게 낯설게만 느껴지진 않았다. 2020년의 키워드들과 연관되고 더 확장된 부분들이 많았으며 역시나 다양하게 나열된 예시들을 통해 핵심 키워드를 이해하기가 수월했다. 무엇보다 많은 데이터와 분석을 기반으로 10대 키워드 선정이 가능했다는 생각에 믿고 볼 수 있었다. 이번 책에도 역시나 생소한 용어들이 있었지만 그 용어들이 재미있고 기발하다는 생각도 들었다. 내가 몰랐던 분야들의 변화의 흐름들도 알게 되니 무지에서 벗어나는 느낌 또한 반가웠다. 무엇보다 발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트렌드를 누가 얼마나 잘 따라갈 수 있는지가 최대의 관건인 것만은 확실하다.

나의 경험으로 2020년은 주거환경의 변화, 당근 마켓의 이용, 운동의 변화가 가장 피부로 와닿는 점이다. 아이들의 온라인 수업의 장기화로 아이들의 수업에 맞는 집안 구조를 변화시켰고, 당근마켓 이용으로 인근 지역주민과의 거래가 자연스러워졌으며, 즐겨하던 운동을 이제 집에서 해야하는 점들이 2020년도의 가장 큰 변화이기도 했다. 그러니 2021년의 키워드를 보며 수긍되는 점들이 많았다. 개인적으로 2021년 소비트렌드 키워드 중에 가장 눈여겨 본 키워드는 휴먼터치이다. 근래에 접한 도서들이 기술 발전만으로 미래를 대비할 수 없고 반드시 인간의 감정과 공감능력을 훼손하지 않는 기술 발전이 반드시 필요함을 강조한 것들이었다. 아무리 개인주의가 발전하고 기술 발전의 풍요속에 혼자서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아졌다고는 하나 타인과의 인간적인 관계 형성과 소속감이 필요함은 더 확실해 진 것 같다. 진정성이 담긴 기술과 사회가 2021년에는 더 발전하며 코로나의 위기를 잘 극복해나가는 해가 되기를 기대한다. 트렌드코리아 2022의 만남도 벌써 기대해본다. 당연히 트레드 코리아를 한 번 접한 분은 매년 이 책을 기다릴거라 짐작하며 아직 트렌드 코리아를 만나보지 못한 분들은 이 책을 통해 변화되는 트렌드의 흐름을 알아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yes24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출판사의 확인 후 게재되었습니다.>

35명이 이 리뷰를 추천합니다. 공감35 댓글 40 접어보기

한줄평 (218건)

1,000원 이상 구매 후 한줄평 작성 시 일반회원 50원, 마니아회원 100원의 YES포인트를 드립니다.
(CD/LP, DVD/Blu-ray, 패션 및 판매금지 상품, 예스24 앱스토어 상품 제외) 리뷰/한줄평 정책 자세히 보기
0/50

배송/반품/교환 안내

배송 안내

배송 안내
배송 구분 YES24 배송
  •  배송비 : 무료배송
포장 안내

안전하고 정확한 포장을 위해 CCTV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고객님께 배송되는 모든 상품을 CCTV로 녹화하고 있으며,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해 작업 과정에 문제가 없도록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목적 : 안전한 포장 관리
촬영범위 : 박스 포장 작업

  • 포장안내1
  • 포장안내2
  • 포장안내3
  • 포장안내4

반품/교환 안내

※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과 관련한 안내가 있는경우 아래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품/교환 안내
반품/교환 방법
  •  마이페이지 > 반품/교환 신청 및 조회, 1:1 문의, 고객만족센터(1544-3800), 중고샵(1566-4295)
  •  판매자 배송 상품은 판매자와 반품/교환이 협의된 상품에 한해 가능합니다.
반품/교환 가능기간
  •  출고 완료 후 10일 이내의 주문 상품
  •  디지털 콘텐츠인 eBook의 경우 구매 후 7일 이내의 상품
  •  중고상품의 경우 출고 완료일로부터 6일 이내의 상품 (구매확정 전 상태)
반품/교환 비용
  •  고객의 단순변심 및 착오구매일 경우 상품 반송비용은 고객 부담임
  •  직수입양서/직수입일서중 일부는 변심 또는 착오로 취소시 해외주문취소수수료 20%를 부과할수 있음

    단, 아래의 주문/취소 조건인 경우, 취소 수수료 면제

    •  오늘 00시 ~ 06시 30분 주문을 오늘 오전 06시 30분 이전에 취소
    •  오늘 06시 30분 이후 주문을 익일 오전 06시 30분 이전에 취소
  •  직수입 음반/영상물/기프트 중 일부는 변심 또는 착오로 취소 시 해외주문취소수수료 30%를 부과할 수 있음

    단, 당일 00시~13시 사이의 주문은 취소 수수료 면제

  •  박스 포장은 택배 배송이 가능한 규격과 무게를 준수하며, 고객의 단순변심 및 착오구매일 경우 상품의 반송비용은 박스 당 부과됩니다.
반품/교환 불가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 전자책 단말기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예) CD/LP, DVD/Blu-ray,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  eBook 대여 상품은 대여 기간이 종료 되거나, 2회 이상 대여 했을 경우 취소 불가
  •  중고상품이 구매확정(자동 구매확정은 출고완료일로부터 7일)된 경우
  •  LP상품의 재생 불량 원인이 기기의 사양 및 문제인 경우 (All-in-One 일체형 일부 보급형 오디오 모델 사용 등)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소비자 피해보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반품,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  대금 환불 및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
맨위로
예스이십사(주)
서울시 영등포구 은행로 11, 5층~6층(여의도동,일신빌딩) 대표 : 김석환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권민석 yes24help@yes24.com 사업자등록번호 : 229-81-37000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05-02682호 사업자 정보확인 호스팅 서비스사업자 : 예스이십사(주)
YES24 수상내역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인증획득 개인정보보호 우수사이트
소비자피해보상보험 서울보증보험
고객님은 안전거래를 위해 현금 등으로 결제 시 저희 쇼핑몰에서 가입한 구매안전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비스가입사실 확인
EQUUS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