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매력을 지닌 사고뭉치 제자들과 위대한 스승 공자가 만들어 낸 배움과 우정의 이야기들
캐릭터가 살아 있는 『논어』 읽기로 호평을 받았던 『공자와 제자들의 유쾌한 교실』이 전면 개정되어 출간되었다. 개정판은 기존의 캐릭터와 스토리를 그대로 살리는 가운데 각 꼭지마다 내용을 보완하고 부록을 실어 『논어』의 주제를 좀 더 깊이 음미할 수 있도록 했다.
행동이 앞서는 의리파 자로, 가난했지만 배움의 즐거움을 잃지 않았던 안회, 말 한마디로 천하를 뒤흔들었던 자공, 권력자의 편에 서서 공자에게 파문당한 염유, 말을 앞세우다 공자의 신뢰를 잃은 게으름뱅이 재아, 살얼음판을 걷듯 늘 행동을 조심했던 증삼, 지극한 효자 민자건…. 14년간 천하를 주유하며 방랑생활을 한 공자와 그의 곁을 지켰던 열두 명의 제자. 이 책은 위대한 스승 공자와 그의 동료이자 친구, 가족이었던 제자들이 나이와 신분을 뛰어넘어 나누었던 배움과 우정의 이야기들을 담고 있다.
★ 한국어린이교육문화연구원 선정 ‘으뜸책’
★ 대한출판문화협회 선정 올해의청소년도서
★ 행복한아침독서 추천도서
인물을 중심으로 풀어낸 『논어』 입문서
『논어』는 공자의 가르침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평면적인 텍스트가 아니라 공자와 제자들이 주고받은 대화집 성격이 강하다. 문제는 짧은 대화로만 이루어져 있어 구체적으로 어떤 사건이 벌어졌는지 짐작하기 어렵다는 점. 『논어』를 읽는 데 상당한 교양이 필요한 것도 이 때문이다. 지난 8년간 청소년들과 부대끼며 고전을 공부해온 저자는 『논어』 입문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사기』 『공자가어』 등의 사료를 참고하여 『논어』에 등장하는 인물들에 생명을 불어넣고 에피소드를 보충하여 『논어』를 생동감 넘치는 텍스트로 재구성해냈다. 캐릭터와 이야기가 살아 있는 『논어』는 고전을 처음 접하는 청소년이나 몇 번씩 시도했지만 실패한 성인들에게 맞춤한 입문서 역할을 할 것이다.
『논어』의 핵심 주제를 공자와 제자들의 유쾌한 교실에서 배우다
최초의 직업 교사였던 공자에게는 모두 3,000명의 제자가 있었다고 한다. 공자 스스로는 학덕(學德)이 뛰어났던 열 명 정도를 수제자로 손꼽았는데, 공문십철(孔門十哲)이라고 불리는 이들은 훌륭한 인품과 바른 행실을 가진 ‘안연’, ‘민자건’, ‘염백우’, ‘중궁’, 말재주가 좋은 ‘재아’와 ‘자공’, 나랏일을 맡길 만한 인재인 ‘염유’와 ‘자로’, 옛 문헌에 밝았던 ‘자유’와 ‘자하’이다. 공문십철을 중심으로 한 제자들과의 대화 속에는 공자의 이상이 오롯이 녹아 있다. 따라서 대화를 잘 파악하면 『논어』의 핵심에 근접할 수 있을 터. 신분과 성격, 자라온 환경이 달랐던 제자들 각자에게 맞춤한 가르침을 주었던 공자의 교수법을 파악한 저자는, 제자들과 공자 사이에서 벌어졌던 사건을 흥미진진하게 서술하는 가운데 『논어』의 핵심 주제를 쉽고도 재미있게 전달해준다. 즉 행동이 지나치게 앞섰던 ‘자로’와 ‘의(義)’, 가난했지만 배움의 즐거움을 잃지 않았던 ‘안연’과 ‘예(禮)’, 뛰어난 외교력을 보여주었던 대부호 ‘자공’과 ‘군자(君子)의 덕목’, 말 때문에 공자의 신뢰를 잃은 ‘재아’와 ‘언행일치’, 권력자의 편에 서서 공자에게 파문당한 ‘염유’와 ‘불의(不義)’, 하루 세 번 자신을 돌아보았다는 ‘증삼’과 ‘충서(忠恕: 진실하게 남을 배려하는 마음)’를 연결하는 식이다.
본문에서 미처 풀어내지 못한 『논어』의 다양한 주제는 각 장 뒤에 「논높이 논어」를 두어 보충했다. 특히 온고지신(溫故知新), 도(道), 학문(學文), 인본주의, 우정, 정직 등 청소년들의 입장에서 진지하게 생각해볼 수 있는 주제를 제시한 점이 미덕이다.
위대한 스승 공자와 그의 제자들이 만들어낸 배움과 우정의 공동체
『논어』의 가장 중요한 가르침은 무엇일까? 바로 ‘배움’이다. 그러나 공자가 말하는 배움은 우리가 알고 있는 학습과 다르다. 그것은 좋은 대학에 들어가려고 혹은 좋은 직업을 갖기 위해 하는 공부가 아니라, 한 사람의 인격을 성숙하게 만드는 공부,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한 공부였다. 공자는 능력에 상관없이 누구나 배움이 필요하다고 말했고, 그 때문에 제자들을 받아들이는 데에도 경계를 두지 않았다. 가장 나이가 많은 자로는 공자보다 아홉 살 적었을 뿐이지만, 자장과 자하처럼 마흔 살 이상 어린 제자도 있었다. 안연처럼 생계를 잇기 힘든 제자가 있었는가 하면, 자공처럼 천하에 이름을 떨친 부자도 있었다. 전과자 출신도 있었고 불치의 병을 앓은 제자도 있었다. 공자는 이런 제자들과 함께 자신의 집에서, 산책길에서, 수레 위에서 사람다움의 길을 찾기 위해 배우고 토론했다. 배움을 향한 열정으로 가득 찼던 공자의 학교, 그곳에서 우리는 학교 폭력과 교실 붕괴가 만연한 오늘날의 학교가 잃어버린 본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주요 등장인물
공자(孔子, 본명은 공구孔丘): 어렸을 때는 머리 한쪽이 툭 튀어나온 짱구였고, 커서는 키가 2미터나 되는 꺽다리였다. 열다섯 살에 배움에 뜻을 두었고 평생토록 배우는 일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군자가 덕(德)으로써 다스리는 이상적인 정치를 실현하기 위해 제자들과 14년간 방랑생활을 한다.
자로(子路, 본명은 중유仲由): 공자의 제자 중 최연장자로 공자보다 아홉 살 어렸다. 맨손으로 호랑이에게 덤벼들 만큼 힘이 세고 무예가 뛰어났다. 거칠고 성급한 성격 탓에 공자에게 늘 꾸중을 들었지만, 가장 충직한 제자로서 공자를 섬겼고, 공자도 그런 자로를 아꼈다고 한다.
안연(顔淵, 본명은 안회顔回): 공자보다 서른 살 아래로 공자가 가장 사랑한 제자다. 대나무 밥 하나와 물 한 바가지로 끼니를 때울 만큼 가난했지만 배움의 즐거움을 알았던 사람이다.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알았고[聞一知十], 화가 나도 남에게 그 화를 풀지 않았으며, 잘못을 반복하지 않았다고 한다. 안연이 일찍 죽자 공자가 “하늘이 나를 버리시는구나!” 하며 탄식했다.
자공(子貢, 본명은 단목사端木賜): 뛰어난 언변으로 위기에 빠진 노나라를 구할 만큼 외교력이 출중했다. 무역과 장사로 큰 돈을 벌어 공자 제자 중에서 가장 부유하기도 했다. 공자에게 옥그릇과 같다는 평을 듣는다. 스승이 세상을 떠나자 홀로 육년상을 치렀다고 한다.
염유(?有, 본명은 염구?求): 다재다능했지만 소극적이고 자신의 재능에 한계를 긋는 성격이었다. 노나라의 실세였던 계씨 집안의 가신으로 등용되었다.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기보다는 계씨를 위해 재물을 모으고 세금을 거두었다. 이 때문에 공자에게 “더 이상 내 제자가 아니다.”라는 말을 들으며 파문당한다.
재아(宰我, 본명은 재여宰予): 말솜씨가 뛰어났지만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아서 공자의 걱정을 샀던 제자다. 낮잠을 자다가 공자에게 “이 썩은 나무조각 같은 놈아!”라는 꾸지람을 듣기도 한다. 부모가 돌아가시고 지내는 삼년상이 너무 길다고 하면서 일년상을 지낼 것을 주장한다.
자유(子遊, 본명은 언언言偃): 옛문헌의 전문가이자 유능한 행정가로 공자보다 마흔다섯 살 어린 제자였다. 공자의 가르침을 받은 후 무성 고을의 수령이 되었다. 무성을 다스리면서 음악으로 백성들을 가르치고 이끄는 모습을 보고 공자가 무척 흐뭇하게 여겼다고 한다.
증삼(曾參, 자는 자여子輿): 공자에게 어리석고 굼뜨다는 평을 받았지만,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듯 스승의 가르침을 성실하게 실행한 제자였다. 공자의 손자 자사(子思)를 가르치는 등 공자의 사상을 후세에 전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죽기 전까지도 손과 발을 살피며 부모로부터 받은 신체를 훼손하지 않았는지 염려한 효자였다.
자장(子張, 본명은 전손사?孫師): 공자보다 마흔여덟 살 어린 제자. 적극적인 성격으로 일단 많은 지식을 습득하고 그 가운데서 잘못된 것을 걸러내는 데 중점을 두었다. 성격이 과격했던 자장은 공자에게서 지나치다는 평가를 받는다.
자하(子夏, 본명은 복상卜商): 공자보다 마흔네 살 어린 제자. 자장과 정반대로 소극적인 성품의 자하는 차근차근 배움을 쌓아 가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자장은 지나친 면이 있는 반면 자하는 미치지 못하는 면이 있다고 평가를 받는다.
번지(樊遲, 본명은 번수樊須): 공자의 수레를 몰았던 제자. 총명하지는 않았지만 성실하고 순박했고 질문이 많았다. 공자에게 인(仁)과 지(知)에 대해 여러 차례 질문했고, 농사짓는 법이나 채소 키우는 법을 질문하다가 공자에게 소인이라는 핀잔을 듣기도 했다.
중궁(仲弓, 본명은 염옹?雍): 천민 출신이었지만 공자는 신분을 따지지 않고 그를 제자로 받아들였다. 덕행이 뛰어났지만 말재주는 없었다고 한다. 공자가 “남면(南面)할 인물이다.”라고 평할 정도로 군주의 재목으로 인정하고 극찬한 인물이다.
민자건(閔子蹇, 본명은 민손閔損): 효성과 덕행으로 유명한 제자. 말을 많이 하지는 않았지만 늘 사리에 맞는 말만 했다고 한다. 바르지 못한 권력 앞에서 굽히지 않는 의기를 보여 주었다. 어려서 계모로부터 모진 학대를 받았지만 극진한 효도로 부모를 감동시켰다고 한다.
스토리와 캐릭터로 읽는 고전 읽기 시리즈 ‘메멘토청소년문고’
‘메멘토청소년문고’는 스토리와 캐릭터를 살려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게 고전을 재해석하는 청소년 고전 읽기 시리즈다. 다양한 인물들이 빚어내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중심으로 고전을 풀어내고 오늘날의 시각으로 생각해볼 점을 제시할 이 시리즈는, 개성 있는 캐릭터가 살아 움직이는 입체감 있는 고전 읽기 시리즈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