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박한 지식과 풍부한 독서, 참신한 해석으로 독서의 재미를 일깨워주다
해마다 크고 작은 단체와 기관 들에서 “필독 고전 리스트”를 발표한다. 그런데 그 리스트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수천 년 동안 쌓아 온 인류의 고전이야말로 지식의 보고이자 지혜의 바다이며, 인생의 항로를 결정할 정도로 중요한 것쯤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때로는 이 고전이 대학 입시나 취직 시험에서 결정적인 열쇠로 작동하기까지 한다. 그러니 그 위대한 고전 리스트를 접할 때마다 경건해지고 엄숙해지다 못해 살짝 두려움까지 느낄 법하다. 언젠가 한 번쯤은 들어봤을 고전의 제목들을 볼 때마다 읽지 못했다는 죄책감과 읽어야 한다는 의무감과 회피하고 싶은 마음에 사로잡힐 때가 한두 번이 아닐 것이다. 인류가 생산해낸 위대한 지적 자산이 이렇게 그 후손의 마음을 짓누르고 자꾸만 도망치려는 마음을 들도록 하다니, 무언가 잘못되었다는 생각을 할 법도 하지만, 그 생각을 입 밖으로 꺼내기가 마냥 쉽지만은 않다.
그러나 지금 이 순간을 살아가는 우리는 이 무궁무진한 이야기보따리를 포기할 필요는 없다는 것 또한 잘 알고 있다. 어쩌면 우리는 무지막지한 리스트에 짓눌려 접근하기 어려워했던 것이지 그 이야기 자체에 싫증을 내는 것은 아닐지도 모른다. “정박”이란 이름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정승민은 오랫동안 독서 팟캐스트/유튜브 채널 《일당백》과 여러 신문과 잡지 지면을 통해 명확하고 깊이 있는 해설과 서평으로 이러한 딜레마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해왔다. 그는 해박한 지식과 풍부한 독서, 참신한 해석을 바탕으로 우리에게 독서의 재미를 일깨워주는 한편, 독창적 해석이 주는 쾌감을 선사해왔다. 이 책 『우리 시대 고전 읽기』는 그 결과물 중의 하나이다.
우리 시대 고전 읽기: “우리 시대 또한 고전을 읽자”인가, 또는 “우리는 우리 시대의 고전을 읽자”인가
이 책은 79권의 책을 문학, 역사, 근대, 유토피아, 과학, 인간, 정치 등 7개의 카테고리로 묶어 소개한다. 각 카테고리의 부제는 사뭇 의미심장하다. 1장 문학 편은 먼저 “내가 누구인지 말할 수 있는 자는 누구인가”이다. 2장 역사 편은 “오래된 미래, 오지 않는 과거”이고, 3장 근대 편은 “하늘의 별이 사라진 시대의 자화상”이다……
이러한 부제가 가리키는 것은 독서가 우리 시대의 우리 고민에서 멀어질 수 없는 행위라는 것이다. 즉, 독서는 리스트의 책을 지워나가면서 무작정 읽는 것이 아니라 나와 세계와 시대가 고민하는 바를 의식하면서 읽는 행위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 책의 제목 “우리 시대 고전 읽기”는 “우리 시대 또한 인류의 고전을 접하고 읽고 나눠야 한다”의 의미가 담겨 있으면서 동시에 “우리는 우리 시대의 고전을 골라서 읽어야 한다”의 의미가 담겨 있다. 우리 시대의 고전 읽기는, 인류의 고전을 음미하는 동시에 우리 시대의 고민과 문제의식에 합당한 책들을 골라 의미를 부여하고 읽음으로써 낯설고 새로운 미래를 꿈꾸는 행위인 것이다. 바로 이 점에 저자가 책들을 고른 기준과 이유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의 목록을 살펴보면 “과연 이 책을 고전이라 부를 수 있을까?” 하는 질문이 나올 정도로 잘 알려지지 않은 책과 신간에 가깝다고 해도 무방할 최근의 책들도 포함되어 있다. 저자의 표현대로 “고전, 그리고 고전이 되고 싶은 신간”이 뒤섞여 있다(7쪽 참조). 고전 리스트에 의지하지 않고 저자의 예민한 문제의식에 의존하여 스스로 고른 책들에서 독자는 우리 시대의 고민을 엿볼 수 있다. 그것은 바로 근대성에 대한 고민이다. 독자는 이 책을 읽으면서 인간의 능력과 한계, 합리성과 감수성의 대립과 조화, 산업화 이후의 사회, 공동체의 위기, 인간의 숙명과 같은 질문을 계속해서 접하게 된다. 그러나 저자는 그런 문제의식을 키울 뿐 명확한 해답을 제시하지 않는다. 이 책의 장점은 여기에 있다. 저자는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사상을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이것을 알고 싶다, 저것을 읽고 싶다는 욕망을 일깨우면서 고전 독서의 세계로 유혹한다.
읽는 재미, 생각하는 재미, 찾는 재미를 불러일으키는 책
이 책이 주는 재미는 어느 한 주의 주장에 매몰되어 있지 않는다는 점에 있다. 서로 충돌하는 다양한 견해들이 균형 있게 소개된다. 이를테면 톨스토이, 카잔차키스, 멜빌은 인간의 유한성을 고민하는 데에 비해 다윈, 마키아벨리, 에코, 트웨인, 호킹, 그리고『춘향전』의 저자는 근대성의 발현을 꿈꾸고, 카프카, 지로, 조세희, 루소, 카뮈 등은 이미 근대 이후의 소외를 질문한다. 사마천은 역사를 기술하려는 욕망을 실현하지만 핼버스탬, 오버도퍼, 칼린 등은 공식적인 역사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뿐만 아니라 『노르웨이의 숲』, 『이방인』, 『변신』, 『아Q정전』, 『백범일지』 등은 기존의 것에서 벗어난 좀더 새로운 해석으로 설명되고 있다.
한편 이 책의 재미는 곳곳에서 빛을 발하고 있는 아포리즘적인 문구를 발견하는 데에도 있다. 이를테면 “무엇보다 고전은 연약하고 부서지기 쉬운 사람이 꿈꾸는 불멸이자 재생이다.”(5쪽), “삶의 의미는 생자필멸生者必滅을 자각할 때 비로소 시작된다.”(49쪽), “시행착오에서 지식과 지혜를 얻게 된 인간은 호모사피엔스로 탄생한다.”(77쪽), “의문과 회의는 인간다운 인간을 만드는 정신의 원형질이다.”(77쪽), “허무와 좌절로 가득한 세계에서 인간은 신을 불러낼 수밖에 없다.”(148쪽), “더럽고, 추하고, 짧은 세상에서 보통 선의는 악惡의 포장지로 활용된다.”(219쪽)와 같은 저자의 문장을 만날 때나, “누구든 삶의 끝에 이르기 전에는, 삶의 고통에서 벗어나기 전에는, 사람으로 태어난 자신을 행복하다고 믿지 말라.”(30쪽), “나는 아무것도 바라지 않는다. 나는 아무것도 두렵지 않다. 나는 자유다.”(70쪽), “운명…… 그 이름 아래서만이 사람은 죽을 수 있는 것이다.”(100쪽), “인간은 모두 죽음을 선고받았지만 잊은 채 살아가는 사형수다.”(141쪽), “고향에서 뻗어나온 가장 질긴 끈은 영혼, 아니 위胃에 닿아 있다.”(234쪽), “모든 창조는 만남의 결과물”(206쪽)과 같은 인용문을 만날 때에 깊은 사색으로 빠지게 된다.
이 책은 인류가 지금까지 써온 책들이 가지는 다양한 의미와 재미를 소개하면서 읽어보기를 권한다. 동시에 책들이 주는 공통된 메시지에 주목하며 우리 시대의 고민들을 발견한다. 더불어 이 책들을 읽고 그다음에 읽을 수 있는 책들에 대한 힌트를 주며 상상에 상상을 거듭해보길 청한다. 이 책을 나침반과 지도 삼아 고전, 그리고 고전에 도전하는 신간의 은밀하고 매혹적인 “멋진 신세계”를 탐험해봄직하다.